Q. cloning 에 필요한 primer를 design 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Cloning에 필요한 primer를 디자인하는 것은 성공적인 실험의 핵심입니다. 우선 Target gene과 벡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Insert sequence: 클로닝하려는 target gene의 서열을 준비하시고, Vector sequence: 벡터의 전체 서열과 클로닝에 사용할 제한효소 자리(MCS: Multiple Cloning Site)를 확인해야 합니다. 각 primer는 두 가지 주요 목적을 충족해야 합니다. Insert를 증폭할 수 있어야 합니다 (PCR용). 두번째로는 벡터와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한효소 자리를 포함해야 합니다. Forward primer의 경우 Target gene의 5' 말단에 결합하여, 제한효소 자리를 포함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서열을 붙여야 합니다. Reverse primer의 경우 Target gene의 3' 말단에 결합하여, 제한효소 자리와 함께 Reverse complement 형태로 디자인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벡터의 MCS에서 사용 가능한 제한효소를 선택하셔야 하는데여, 이때 제한효소가 insert 서열에 등장하지 않아야 합니다. Primer를 디자인할 때 우선 Forward primer의 경우 Target gene의 시작점에서 약 18-24bp 정도를 선택하고, 5' 말단에 제한효소 서열(6-8bp)을 추가하며, 제한효소의 효율적 절단을 위해 제한효소 자리 앞에 GC-rich 서열(4-6bp)을 추가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Reverse primer의 경우 Target gene의 끝에서 약 18-24bp를 Reverse complement로 선택, 5' 말단에 제한효소 서열(6-8bp)을 추가하고 제한효소 앞에 GC-rich 서열을 추가해야 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길이: 18-24bp 권장.Tm (녹는 온도): Forward와 Reverse primer가 비슷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55-65°C 범위가 적합Tm 계산 공식: Tm=4×(G+C)+2×(A+T)GC 함량: 약 40-60% 권장.3' 말단 안정성: 3' 말단은 안정해야 하며, dimer 형성이나 hairpin 구조를 피하세요.
Q. 손가락을 꺾으면 소리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꺾으며 '뚝' 하는 소리를 내거나,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행위는 손가락 관절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하는데요, 관절을 꺾거나 비틀 때 소리가 나는 현상을 전문 용어로 '크레피투스(crepitus)'라고 합니다. 크레피투스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관절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소리가 난다는 의견이 있는데요, 2015년 캐나다 앨버타대 재활의학교실 연구팀은 손가락 관절 변화를 살피기 위해 MRI 촬영을 했습니다. 그 결과, 손가락 관절을 당겨 내부에 공간이 생기는 순간, 관절낭(관절을 감싸는 주머니) 안에 공기가 들어오며 소리가 나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프랑스 에꼴폴리테크대 압둘 바라카트 교수는 크레피투스가 관절액의 거품이 터지는 소리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관절 사이에는 관절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 관절액이 있습니다. 관절액에는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에 의해 만들어진 거품이 발생하는데, 관절을 꺾는 과정에서 이 거품이 터지면 '뚝' 하는 소리가 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바라카트 교수는 실제 손가락 관절이 꺾일 때 나는 소리와 거품이 터질 때 소리를 비교했더니, 두 소리의 파형이 비슷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