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수입 트렌드 조작을 잡아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기업이 특정 품목의 수입 트렌드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를 AI가 이걸 알아채고 잡아낼 수 있을 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수입 트렌드 조작이라는 게 결국은 데이터의 패턴을 일부러 왜곡시키는 건데요. AI가 잡아낼 수 있느냐는 데이터 접근 범위와 학습 수준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나라 세관에서도 무역통계와 신고 데이터를 교차 검증하는 시스템을 쓰고 있는데, 여기에 AI가 접목되면 이상치 탐지나 반복 패턴 분석으로 조작 가능성을 빠르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기업 내부 사정까지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 신고 자체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면 외부에서는 그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AI만으로 해결되기보다는 세관의 위험관리 시스템과 결합해서, 과거 거래 이력이나 시장 상황과 비교하는 식으로 써야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이러한 AI는 트래픽 전문 AI가 되어야될듯 합니다. 이러한 트래픽이 여러군데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서만 인위적으로 발생한 경우 이를 확인하고 잡아낼 수 있을 듯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AI도 개발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기업이 수입 트렌드를 인위적으로 만든다면 AI가 이를 잡아내는 건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고 데이터는 물량가격빈도 같은 패턴이 일정한데, 조작이 개입되면 갑작스러운 증감이나 비정상적 단가 분포가 생깁니다. AI는 과거 정상 패턴을 학습해 이런 이상치를 탐지할 수 있고, 다른 기업국가 평균과 비교해도 비정상 신호를 빨리 포착할 수 있습니다. 다만 AI가 곧바로 “조작이라고 단정하긴 어렵고, 탐지 후 세관 담당자가 추가 서류 검증이나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결국 AI는 조기 경보 역할을 하고, 최종 판단은 사람의 검증이 따라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