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단호한메추라기154
단호한메추라기154

장수하늘소는 왜 멸종 위기에 처했을까요?

장수하늘소는 왜 멸종 위기에 처했을까요?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불법 포획 등 다양한 원인들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국립수목원은 장수하늘소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줄어든 이유로 '먹이 감소'를 꼽았는데요, 하늘소 유충은 5~7년 동안나무를 갉아 먹으며 성충이 되어야 하는데, 지구온난화의 여파로 국내 신갈나무, 서어나무 같은 참나무류의 거목이 부족해진 것입니다.

  • 장수하늘소의 멸종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서식지 파괴로, 고목과 오래된 숲의 감소가 주요 요인입니다. 이 외에도 기후 변화로 인한 생태 환경 변화와 불법 포획 등이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번식과 생존에 필요한 환경이 부족해진 것이 치명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장수하늘소가 멸종 위기에 처한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입니다. 장수하늘소는 냉대 기후(겨울에는 매우 춥고 여름에는 고온)에 사는 곤충이지만 요즘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겨울도 상대적으로 고온이 되면서 기후에 적응을 못 하고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