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단호한칼새245
단호한칼새24522.07.25
저의 아들복시현상과 너무자주싸는 오줌때문에 걱정되네요

6학년 아들이 있습니다..근데 코로나걸리고 1달있다가 갑자기 눈이 2개보이고 오줌이 자주매려워서 비뇨기과 가서 소변검사 피검사했는데 정상이라고 하더라고요..안과에 가서 눈검사받았는데 정상이라고이야기 하더라고요..안과에서 대학병원 고려대병원 추천하더라고요 거기가서 검사 받아보라고 이야기하더라고요 대학병가서 예약잡아놓고 검사할날짜에 MRI검사봤았고요.. 뇌파검사했는데 얘가 잠을자야는데 잠을안자서 다시검사 하자고 이야기하더라고요 MRI검사는 정상이라고 이야기하더라고요.눈도 고려대병원에서 다시하라고 얘기해서 그만 병원에나왔어요..안과를 2군데에 갔는데 다 정상으로 나거든요..저의아들 밤마다 쉬때문에 새벽 2시에 잠을잔적도있고 12시에잠잔적도 있고 잠을 못자니까 아침에 너무 힘들어하네요.쉬를 쉬원하게 싸면 좋을텐데 조금싸고 또가고 조금싸고 또가가고 반복이되네요 ..어떡해야 될찌 못르겠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무언가 심리적 압박을 받고있을가능성이있습니다

    신체적 질환이 없다면 심리상담을 받으면서 정신적인 무언가를 케치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상황에 대해서 들어보고 이야기하면서 이러한 점을 찾아보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신체적으로든 심리적으로든 문제가 있느 것 같습니다.

    아이가 그렇다보니 현재 이런 증상들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일단은 다른 병원에 가서도 아이의 상태에 대하여 전반적인

    몸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필요해보이며 옆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케어를 잘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많이 힘들어 할 것 같아요.

    아하 의료 카테고리란에 질문을 하면 답변을 들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5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복시는 한쪽 눈을 감았을 때 복시가 사라지는지를 기준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때 물체의 상이 위아래로 생기는지, 옆으로 생기는지, 상이 기울어져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눈의 운동을 자세히 관찰하여 어떤 근육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프리즘 검사를 시행하여 눈의 이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보이는 것을 잘 묘사할 수 있으므로 복시를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복시를 진단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아이가 눈을 많이 비비거나 손으로 가리거나 곁눈질을 하거나 머리를 한쪽으로 기울이는 등의 행동을 한다면 복시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복시가 갑자기 생겼거나 확실한 원인을 찾지 못한다면, CT, MRI 검사를 시행하여 눈의 문제, 뇌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시의 치료 방법은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육 이상에 의해 생긴 복시는 수술을 통해 교정합니다. 난시로 인해 생긴 복시는 특수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사용하여 교정합니다. 백내장이나 익상편에 의한 복시도 수술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사시가 있는 아이에게는 안경을 착용시키거나, 눈을 올바르게 정렬시키는 훈련을 하기 위한 프리즘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다면, 사시 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증 근무력증과 같은 신경근육 질환에 의한 복시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호전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심리상담사입니다.

    아무래도 대학병원을 포함한 여러 병원 에서 이상이 없다고 하는 경우에는 심리적 영향일 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병원을 여러번 옮겨다녀서ㅜ번거롭고 속상하시겠지만 정신과에도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분의 복시현상과 빈뇨증상때문에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검사상 다 정상이라면 심리적인 문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 한번 방문해보시는 것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