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마이크는 어떻게 해서 소리를 크게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진폭시키는 원리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스피커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회로내 증폭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소리의 정보를 유지한채 소리의 크기를 변경시켜 증폭하는 원리입니다.이 과정에서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원리와 전기신호를 다시 소리로 바꾸는 원리는 전자기 유도 원리입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마이크 내)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마이크 머리 부분)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마이크 내)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마이크에 소리를 내게 되면 진동하는데, 이 진동으로 자석이 떨려 자기장을 변화시킵니다. 변화 된 자기장이 코일에 유도 전류를 생성해 전기신호를 만드는 것이죠. 스피커에서는 반대로 일어나게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30
0
0
제 3의성이 있을수 있나요?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자, 여자도 아닌 제 3의 성을 가진 인간은 없습니다. 하지만 성이 없거나 성이 함께 있는 동물은 존재하며 자가번식이 가능합니다. 예시로 달팽이가 있는데, 달팽이의 경우 자웅동체입니다. 그렇지만 달팽이도 짝짓기를 합니다. 짝짓기할 때 성별을 택할 수 있으며 한쪽이 암컷이 되면 다른쪽은 수컷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짝짓기가 끝나면 다시 자웅동체로 돌아오며, 후에 암컷의 역할을 하던 달팽이가 알을 낳게되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2.30
0
0
우주에서도 과학적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이 자라나기 위해서는 기압, 수분, 영양분, 햇빛, 토양 등이 있어야합니다. 우주에 이러한 것들이 갖춰져 있다면 자라날 수 있지만 우주 공간은 진공이기 때문에 사실상 식물이 자라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30
0
0
날씨가 추워지면 소변이 자주 마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온이 떨어지게 되면, 체온 유지를 위해 몸이 떨리거나 에너지의 소비가 많아집니다. 그리고 땀 배출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죠. 땀 배출이 줄어들면서 소변이 자주 마렵게 되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30
0
0
비가 온 뒤에 지렁이가 왜 길거리에 많이 나와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땅 밖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2
0
0
새가 하늘을 날을수 있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하죠.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12.12
0
0
금속탐지기의 금속탐지 원리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 탐지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금속을 감지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금속 탐지기는 하나의 코일입니다. 이 코일에 변화하는 전류를 흘려보내 변화하는 자기장을 만들어 내죠.그리고 이 변화하는 자기장이 외부 금속에 닿게되면, 금속의 입장에서는 외부의 자기장에 변화로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금속에 유도 전류가 흐르죠. 그렇게 되면 금속 또한 하나의 자석이 됩니다. 이 금속이 자석이 되어 자기장을 만들고, 만들어진 자기장이 금속 탐지기에 영향을 미쳐 예상과 다른 전류가 흐르게 되죠. 이 때 경고음이 작동함으로써 금속을 탐지하는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2
0
0
드라이아이스와 관련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죠.
학문 /
화학
22.12.12
0
0
지면 속의 석유, 어떻게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석유의 만들어지는 과정은 무기성인설, 유기성일설 두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무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의 금속탄화물과 물이 고온 고압 환경에 놓여 반응해 탄화수소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탄화수소, 물, 황 등이 섞이면서 고온 고압으로 반응하여 탄화수소가 발생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유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에 매몰된 유기물(동물, 식물)이 지열과 지압을 받아, 토양의 촉매 작용으로 탄화수소로 변성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여기서 등장하는 탄화수소가 석유를 의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2
0
0
물체의 정지와 마찰력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닥과 물체사이에 마찰력이 아주 강하게 작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멈춰있습니다. 만약 마찰력이 없다면 모든 물체는 대부분 움직이고 있을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2.12.12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