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독감 걸렸을 때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하나요? 어떻게 결정하나요?

김수비 의사 프로필 사진
김수비 의사

독감(인플루엔자)은 감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질병으로, 전염성이 강하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독감에 걸렸을 때 병원에 갈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아하 의료 상담 게시판에서 많이 여쭤보시는 질문 중 하나 이기도 하구요.

그럼 오늘은 독감 증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에 갈지 말지 결정을 내리기 위한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1. 증상이 경미한 경우

독감의 초기 증상은 고열, 두통, 근육통, 인후통, 기침, 피로감 등으로 시작됩니다. 이 때, 증상이 경미하고 체온이 38도 이하로 유지되며 특별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경우 가벼운 대처와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등으로도 회복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병원 방문 없이 자가 관리가 가능하며, 증상이 심해지지 않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독감에 걸렸을 때 병원에 반드시 가야 합니다. 고위험군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포함됩니다:

65세 이상의 노인

임신부

만성질환(당뇨, 심장질환, 폐질환 등)이 있는 사람

면역력이 약한 사람 (예: 항암 치료 중인 사람, HIV 감염자 등)

어린이(특히 5세 이하)

이들은 독감으로 인한 합병증이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전문적인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초기 증상이 나타나자마자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3. 증상이 심각한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고열(39도 이상)과 지속적인 열

호흡이 곤란하거나 숨이 차는 느낌

가슴 통증

혼란 상태나 의식이 흐릿해지는 증상

극심한 피로감이나 무기력

구토가 지속되거나 탈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이러한 증상은 독감이 심각하게 진행되었거나 합병증을 동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폐렴, 심근염, 뇌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4. 자가 치료 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자가 치료를 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더 악화된다면, 병원에 가야 할 신호일 수 있습니다. 독감은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2~3일 이상 지속되거나 점차 악화된다면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독감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은 독감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예방접종을 했더라도 독감에 걸릴 수 있지만,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면 더 심각한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만약 독감에 걸렸다면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여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는 증상의 진행을 늦추고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독감에 걸렸을 때 병원에 가야 할지 말지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다릅니다. 증상이 경미하고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는다면 자가 치료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위험군에 속하거나 증상이 심각하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악화되거나 2~3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방문을 고려하고, 항바이러스제 처방을 받는 것이 회복을 돕는 데 유리합니다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감염 예방을 위해 위생 관리와 예방 접종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오늘의 잉크를 마치겠습니다.

댓글0
김수비 의사
QUB
김수비 의사 프로필 사진
유저 프로필 이미지
0/ 500
댓글 아이콘필담이 없어요. 첫 필담을 남겨보세요.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