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가습기만 켜면 공기청정기가 계속 빨간불로 돌아가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청정기의 경우 미세먼지, 먼지를 제거해 주는 필터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필터는 습한 환경에 노출되면 좋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되죠. 만약 가습기와 공기 청정기를 함께 사용하게 되면 가습기가 습한 환경을 만들어 공기 청정기 필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습한 환경이거나 가습기를 사용할 때에는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실 때에는 제습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3.01.05
0
0
초고층 아파트에 살면 건강상 문제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고층에 산다고해서 건강에 문제가 생기진 않습니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로 고산지대에 있든 지상에 있든 잘 살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1.0
1명 평가
0
0
지구가 반대로 공전하면 지구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갑자기 반대로 공전하게 된다는 것은 원래 회전하고 있던 방향에서 갑자기 반대방향으로 자전하는것으로 지구 내부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버스를 타고 가고 있는 급정거를 하는 상황과 비슷하죠. 원래 자전하고 있던 자전 속력은 적도를 기준으로 1670km/h 정도 입니다. 이렇게 회전하다 갑자기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모두가 원래 운동하는 방향으로 날아갈 것입니다. 그것도 시속 1670km/h로 말이죠. 또한, 지구의 자전은 지구의 자기장 형성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자기장이 순간적으로 약해질 수 있는데, 자기장이 약해지면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전하를 띤 입자들)과 방사선 물질이 지구 내부로 유입돼 생명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화산이 터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판 내부에는 용융상태(높은 온도로 인해 고체가 녹아있는 상태)인 마그마, 용암이 존재합니다. 판이 움직이며 판과 판이 부딪히면서 부분적으로 부피가 늘어나 외부로 마그마나 용암을 밀쳐내면서 분출 될 수 있죠. 이렇게 분출되는것이 화산폭발이라 합니다.화산 폭발의 전조 증상은 지진이 발생하거나, 화산의 수온 변화, 화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성분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를 분석해 화산 폭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두사람이 겉으로 보기엔 거의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겉으로 보기에 같아도 근육 밀도(근밀도)나 체지방량, 뼈의 밀도에 따라 무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쉽게 볼 수 있는 예시로 농구공과 볼링공이 있습니다. 이 두 공은 외관상 크기가 비슷하지만 실제로 볼링공이 훨씬 무겁죠.
학문 /
물리
23.01.05
0
0
라텍스 방석에 불이 붙었는데 완전히 꺼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이 붙었던 것을 버릴 때에는 완전히 불이 꺼진것을 확인하고 버리셔야합니다. 불에 붙었던 물체를 물에 담그거나 소화기를 뿌려 완전히 불씨를 끈 뒤 버려야 가장 안전하죠. 질문자님께서 대처하실 때 밟고 물도 부었기 때문에 불씨가 거의 꺼졌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그래도 현재 건조한 날씨로 화재의 위험은 언제나 있으니 꼭 다시 확인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학문 /
화학
23.01.05
0
0
얼음에 물을 넣으면 깨지는 소리는 왜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고체상태인 얼음의 경우 얼음 내 물분자가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온도를 낮추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게 되면 배열을 깨지며 액체인 물이 되죠. 이 얼음을 물에 넣게되면, 얼음입장에서 갑자기 뜨거운 환경에 노출된 것이나 다름없죠. 그러면 외부의 온도로인해 내부의 배열이 깨지면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1.05
0
0
핵분열 에너지와 핵융합 에너지 차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결과적으로 핵융합은 두 물질이 합쳐져 하나의 물질이 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고, 핵분열은 한물질이 쪼개지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질량 손실에 의해 얻어지는 에너지는 E=mc^2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1g의 질량 결손만으로 9000만 줄(J)의 에너지가 발산됩니다.
학문 /
화학
23.01.05
0
0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쓰고 있는 전기는 어떤 원리로 만들어 지고 어떻게 생성된 전기가 집으로 전기줄을 타고 오게되는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발전소에서 발전기를 통해 얻습니다. 발전의 종류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원자력, 수력, 조력, 화력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원리로 작동합니다. 바람개비, 물레방아와 같은 터빈을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 끝에 달려있는 자석이나 코일이 회전하며 유도 전류를 만드는데, 이 전류를 모아 전기로 사용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발전기는 터빈에바람이나 물살 등 외부 힘으로 인해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 끝에 달린 자석이 코일 주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터빈 끝에 달린 코일이 자석 주변으로 하면서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모아 전기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코일에 전류를 모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5
0
0
소금쟁이가 물위에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물수제비도 가능한것입니다. 비스듬히 날아가는 돌멩이 입장에서 물표면이 마치 땅바닥처럼 결합력 있기 때문에 돌멩이가 물표면에 부딪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이유입니다. 소금쟁이도 물위에서 떠다닐수 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