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얼마전 회사 행사에서 나온 인사말중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나무는 이름과 달리 나무가 아니며 볏과의 일종이 풀로 구분됩니다. 생긴것이 나무처럼 우뚝 솟고 높이 자라 대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풀로 구분되죠. 나무에 속하기 위해서는 단단한 부분이 존재해야하며, 부피생장을 해야합니다. 대나무의 경우 단단한 부분이 존재하지만 부피생장은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무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7
0
0
비가 떨어지는 것을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 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빗물의 양이 늘어나면 물의 흐름이 증가하거나 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력발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굉장히 친환경적이죠!
학문 /
토목공학
23.07.07
0
0
태양열로 전기절약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용가능하며 현재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나 주택 위에 태양열 전지가 설치된 곳이 현재는 많이 존재합니다. 태양열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죠. 에너지도 절약되고 친환경적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7
0
0
지구의 자전궤도가 바뀔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자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전은 지구 스스로가 도는 회전운동입니다. 회전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물체의 모양(회전 반경)이나 회전관성(질량)입니다. 또한, 회전운동의 경우 각운동량이라는 회전 운동량이 보존됩니다. 먼저 지구 내에 있는 지하수를 퍼 내는 경우 지구의 총 질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양은 달라지죠. 간단히 생각해서 피겨 스케이팅을 하는 경우 손을 오므리면 회전 반경이 줄어들어 회전 속력이 빨라지고, 손을 벌리면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이는 각운동량이 보존되기 때문인데, 손을 벌리면 회전관성이 커져 속력이 느려지고, 손을 오므리면 회전관성이 작아져 속력이 빨라지는 것입니다.이처럼 지하수를 퍼내어 바다나 강으로 유입되었을 때, 회전관성(지구의 균일도나 모양의 변화)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자전속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모양의 변화는 자전축의 위치에도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피겨 스케이팅을 하는 상황에서 회전할 때 한쪽 손이 무거울 경우 기울어진 채로 돌기 때문에)따라서 지하수의 변화는 자전에 영향을 줄 수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7
0
0
수건을 빨았는데도 걸레 냄새? 나는건 무슨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건을 빨았는데도 냄새가 나면 수건을 삶거나 하는 방법도 있으며, 세탁기 청소를 한 번 하고 세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확실한 건 삶는 방법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07
0
0
눈을 깜박이는 건 왜 나의 의지로도 되지만 무의식적으로도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을 깜빡이지 않으면 안구가 건조해지면서 마르게 되어 따가움이 찾아옵니다. 눈을 깜빡이는 이유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눈물을 안구전체에 고르게 퍼뜨려 안구를 촉촉하게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 눈을 깜빡이지 않는다면 안구건조증에 의해 안구가 푸석푸석해지고 안구 표면이 갈라질 위험도 있으며, 외부 물질이나 충격에 안구에 흠집이나 손상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눈을 깜빡이는 일은 중요한 것이며,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연수에 의해 일어나는 일입니다. 연수에 의해 무조건 반사가 일어나며 기침, 재채기, 눈깜빡임, 침삼키기 등이 일어납니다.
학문 /
물리
23.07.07
0
0
비가 생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기류(저기압)를 만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이죠.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것이죠. 바람의 방향 역시 앞서 말씀드린 요소인 온도, 기압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리고 행성 내에서 바람의 방향은 행성 자전에 의한 영향(전향력=코리올리 효과)도 받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7
0
0
연가시가 곤충에게 기생할수는 있지만 사람의 몸속에서 기생할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몸에는 면역체계가 존재하며, 위 내부에는 위액이 나와 산성을 띠고 있어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쩌다 몸에 들어왔다고 해도 연가시가 호흡하고 살 수 있는 공간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에 몸에서는 살 수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7
0
0
확실히 여름철이라 시원한 음료를 많이 마시게 되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보다는 이온음료, 알칼리 음료를 마시게되면 몸에서 흡수되는 것이 빨라 갈증해소에 더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눈이 나빠 안경알을 압축을 여러번 한다는 뜻은, 원래 두꺼운 안경알을 얇게 만들어준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안경알 압축은 얇은 렌즈를 뜻합니다. 보통 렌즈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굴절률이 커지는데, 소재를 달리하여 얇아도 굴절률을 크게 만들어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얇은 렌즈를 사용할 경우 가볍기도하고 미적으로도 좋기 때문에 좋은 안경이됩니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