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미국이 3500억 달러 투자를 현금으로 요구에 우리는 무제한 통화스와프로 역제안 했다고 합니다. 무역협상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3500억 달러 현금 요구가 사실이라면 일괄 수용보다 단계적 투자, 세액공제보증 등 비현금 패키지 전환이 현실적입니다. 통화스와프는 달러 유동성 안전망이자 협상 지렛대지만 승인 조건이 많아 확정카드는 아닙니다. 한번에 크게 가면 부작용 큽니다. 재정부담, 환율 흔들림, 대중국 역풍은 다자공동투자와 공급망 인센티브로 분산하는 게 좋습니다.
경제 /
무역
13시간 전
0
0
미중 무역 갈등에 대비한 한국의 전략은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한국은 양자택일보다 선택적 결합이 맞습니다. 대중 의존 부품은 베트남 인도 멕시코로 조달망을 쪼개고, 반도체 배터리 소재는 미국 유럽과 공동 투자로 우군을 늘립니다. 중국은 로컬 생산과 비규제 품목으로 방어, 공급망 금융과 데이터 가시성으로 리스크를 수치화하고 준수 체계를 내재화해 조사에도 흔들리지 않게 합니다.
경제 /
무역
13시간 전
0
0
이번에 미국과 관세관련하여 어떻게 결과과 나왔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은 주요 교역국과의 긴장 속에서 다시 강화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산 제품을 중심으로 최대 25퍼센트 수준의 관세가 유지되거나 일부 품목은 추가 인상 논의도 있습니다. 이런 조치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지만 수입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기업들도 생산비 압박을 받게 됩니다. 결국 물가 불안이 길어지고 교역 상대국의 보복 조치로 수출 시장이 위축될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이 가장 큰 부정적 요인입니다.
경제 /
무역
13시간 전
0
0
미국 주식을 추천해주세요. 코인 관련 주식은 제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장기 투자라면 안정적인 실적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꾸준한 수익 구조와 막대한 현금 보유로 경기 변동에도 강합니다. 구글(알파벳)과 아마존은 ai·클라우드 시장 확대의 수혜를 계속 받고 있고, 엔비디아는 반도체 기술력으로 장기 성장성이 높습니다. 또 존슨앤드존슨이나 프록터앤갬블처럼 경기 방어주 성격의 소비재 기업도 분산 포트폴리오로 괜찮습니다. 코인 관련주를 제외하면 기술헬스케어소비재 중심이 무난한 선택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1일 전
0
0
텔레그렘 톤스테이션 사용방법이 궁금합니드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텔레그램 톤스테이션은 ton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미니 앱 형태의 채굴참여형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텔레그램 내에서 봇을 실행해 출석, 미션 수행, 친구 초대 같은 활동을 하면 sOON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포인트는 일정 시점 이후 ton 코인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확정된 교환 비율이나 시기 정보는 없습니다. 즉, 당장은 실제 자산 가치가 명확하지 않은 테스트 성격의 보상입니다. 단순히 게임처럼 참여하되 투자 목적으로 접근하기보단 추후 토큰 이코노미가 공개된 뒤 판단하시는 게 안전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1일 전
0
0
워런버핏은 우리나라 기업에 투자를 한 적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워런 버핏은 한국 기업에 직접적인 지분 투자를 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과거에 포스코 주식을 대규모로 매입한 적이 있었고, 당시 철강 수요가 급증하던 시기라 꽤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후 매각하면서 큰 수익을 남겼죠. 그 외에는 삼성전자나 현대차 같은 대기업에 대한 관심은 언급된 적 있지만 실제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한국 시장 규모가 작고 환율 리스크나 지배구조 문제 같은 요인도 버핏이 조심스럽게 접근한 이유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1일 전
0
0
미-중 무역 전쟁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중 무역전쟁이 길어지면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가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됩니다. 두 나라가 서로 관세를 올리면 교역량이 줄고, 글로벌 공급망이 꼬이면서 반도체나 전자부품 같은 중간재 수출이 위축됩니다. 환율도 불안해져 원화 약세가 심해질 수 있고, 투자심리 위축으로 주식시장도 흔들립니다. 트럼프는 자국 제조업을 되살리고 무역적자를 줄이려는 명분으로 관세를 무기처럼 쓰지만, 실제로는 세계 공급망 전체를 압박하면서 미국 중심의 경제 질서를 만들려는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경제 /
무역
1일 전
0
0
금값이 오르면 세계 경제가 그리 좋지 못한 신호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금값이 오를 때는 대체로 시장이 불안하거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시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라 주식이나 채권보다 위험이 낮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전쟁, 인플레이션, 달러 약세, 금리 인하 기대 같은 요인이 겹치면 투자자들이 금으로 몰리면서 가격이 오릅니다. 반대로 경기가 좋아지고 위험자산 선호가 커지면 금값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금값 상승은 경제가 불안하다는 신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1일 전
0
0
예금자 보호가 1억으로 올랐는데..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자 보호 1억 원 상향은 원화 예금과 저축성 상품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즉, 증권계좌에 있는 미국 주식이나 etf, 국채 같은 투자상품은 예금보험공사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증권사가 망해도 고객 명의로 예탁된 자산은 별도로 분리돼 있어서 원칙적으로는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다만 예치금(미체결 현금)이나 환전 중인 달러 예수금은 보호한도 1억 원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뱅크런 같은 극단적 상황이 오면 일시적인 인출 지연은 있을 수 있지만, 실물자산과 예탁증권은 예탁결제원 시스템을 통해 대부분 복구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1일 전
5.0
1명 평가
0
0
디파이 안전하게 수익 내는법, 디파이 추천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디파이에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노리려면 변동성 큰 코인 대신 스테이블코인 기반 상품을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usdc, usdt, dai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해 이자를 받는 렌딩 플랫폼(아베, 컴파운드 등)은 비교적 리스크가 적습니다. 또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STeth, SFRXeth 등)을 활용한 예치나, 중앙화 거래소의 디파이형 예금 상품도 안전한 편입니다. 단, 스마트컨트랙트 해킹 리스크는 항상 존재하니, 공식 인증된 대형 플랫폼 위주로 분산 예치를 하는 게 좋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1일 전
5.0
1명 평가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