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일자를 지켜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저도 청약종합저축 들어 봤지만 돈을 납입하지 않아도 자격유지는 됩니다. 기간이 지나서혹은 먼저 선납 및 후납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몇번 은행에 가서 부족한 돈을 채우고 청약신청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4
0
0
일본 금리 마이너스 0.1% 의미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은행에 돈을 넣어 놓으면 오해려 대출처럼 이자를 은행에 주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본은 잃어버린30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80년대 일본의 기업들이 버블붕괴로 많이 파산하여 실업자들도 많이 생겼는데요 일본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일반서민들의소득의 증대는 크게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본은 부자인데 일본 서민들의 삶은 그대로라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경제 /
대출
23.03.24
0
0
금리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몬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준금리 보다는 시장금리라고 해서 채권 등에 연관된 금리를 기준으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책정된 금리에 은행들이 1~2%의 마진을 남겨서 일반 고객들에게 대출상품을 판매합니다. 그래서 기준금리와 일부 다르게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떨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은 전문가분들의 의견도 그렇고요. 제도 궁금한것은 그게 어느 시점부터냐라는 것이참 저도 궁금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4
0
0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세계에서 어느정도 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경제 비율은 한 2퍼센트 정도 됩니다. 그리고 전세계 12위입니다. 하지만 지금 반도체 등의 수출이 잘 안되서 그런 것이고 수출이 좋을 때는 세계 9위권 까지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제 생각에는 자원 확보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기술력은 있지만 자원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아프리카나 남미 국가를과의 협력을통해 자원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4
0
0
2023년 최근 경제 이슈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현재 경제 이슈는 아무래도 물가이겠지요. 물가가 제가 생각해도 너무 많이 오릅니다. 이것을 잡아야하는데 금리만으로 통제가 한계치에 온것 같습니다. 금리를 계속 올리면 아마 금융위기가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지금의 경제이슈는 연준이 금리를 언제까지 올릴 것이냐 하는 것이고 물가가 언제 떨어지느냐가 초미의 관심사 일 것이고 우리나라 주식, 부동산이 언제 반등 할 것이냐가 국내적인 관심사항 일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4
0
0
세계경제에 대해서 큰그림을 보려면 어떤 정보를 모니터링 해야 될까요? 신문이나 잡지? 매일 어떤 정보를 봐야 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저는 매일 ET라는 KBS방송을 모니터링 합니다. 경제관련 뉴스를 종합하여 해주는 프로그램인데현재 전문가들이 나와서 금융시장, 부동산시장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브리핑 해 줍니다. 현재 내 스탠스를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4
0
0
미국의 큰은행들이 파산하는데, 국내 은행들은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그렇게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도 최근에 안 사실이지만 현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 금융위기에적절히 잘 대처하신 분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을 따라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지 않고 적절한 타이밍을 보이는 것이구요. 그리고미국도 현 상황을 그대로 지켜 보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리먼브라더스 금융위기를 격었고 그래서 코로나 시대에도 양적완화로 적절하게대응하여 위기를 넘긴 것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경제 /
대출
23.03.24
0
0
사회초년생 자본관리는 어떻게 해야할지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차를 사면 일단 돈은 많이 듭니다. 그래서 추천해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저도 20대 중반에 차를 샀지만 현저하게 돈 모으는 속도가 느려지더라고요 연료값, 유지비 등이 많이 듭니다. 매월 300이면 그나이에 적게 버는 것은 아니네요.결혼하기 전에 철저하게 돈을 모아야 합니다. 결혼하고 아이가 생기면 돈 모으는 것은 커녕 마이너스 입니다. 지금 힘들지만 지출을 철저하게 통제하세요. 그리고 90% 이상을 일단 이율 많이 주는 적금에 강제로 저축을 할 수 있도록 하세요. 저도 그렇게 했습니다. 쓴다고 생각하면 돈 못 모읍니다. 모은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20대에는 짠내나게 살아도 됩니다. 다 이해해주고 아직 인생이 많이 남았잖아요 나중에 후회되지 않도록 20대에 목돈을 만드세요. 돈은 목돈을 만들지 않으면 흐지부지 없어지게 됩니다. 결국 자본주의 사회에서는머니게임입니다. 적금을 들어 목돈을 만들고 그 돈으로 안전한 투자처를 찾으세요. 요즘은 그런 시스템이 잘 되어있고 좋은 책, 전문가도많습니다. 지금이 당신이 부자가 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고 조언해 주고 싶습니다.
경제 /
대출
23.03.24
0
0
이번에도 미국 금리는 인상으로 우리나라의 입지는 어떻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미국과 금리 차이가 벌어지면 외국자본이 빠지게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2차 전지는 외국자본이 거의 50퍼센트입니다. 미국금리가 높아지면 안전자산인 미국에게 자본이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나라도 G20에 들 정도로 성장했지만 미국에 비하면 약하지요. 많은 대비가 필요 할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3
0
0
근로소득이 많이 남지 았아서 주식을 1주씩 매수하지 않고 점단위로 소액씩 매수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요즘은 미니스탁 등 소수점 매도 매수 할수 있는 어플이 잘 되어 있어서 소수점도 매도 하실수 있도수수료도 거의 없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3.23
0
0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