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맞춤법은 틀릴때마다 지적해주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글을 누가 쓰는 가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만일 글을 쓰는 사람이 아이들이라면 글을 쓰도록 약간의 실수는 그냥 두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은 자기가 아는 단어를 동원해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 만으로도 힘들어 하기 때문 인데 예를 들어 접속사도 신경 써야 하고 동사의 현재형과 과거형을 구분 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우선은 글을 쓰게 만들고 나중에 중요한 것만 지적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반면에 글을 쓰는 사람이 성인 이라면 지적을 해 주는 것이 맞다고 보여 집니다.
학문 /
문학
23시간 전
0
0
영어 독해를 잘하려면 단어 뜻만 잘 아는것 보다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게 중요하는데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영어 독해를 잘 하기 위해서는 영어의 문장 구조를 알아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연히 문법을 잘 알아야 합니다. 문장의 기본 구조인 5형식이나 시제 , 능동태와 수동태 등 다양한 문법적인 기본적인 것을 알아야 합니다.
학문 /
문학
23시간 전
0
0
남과 비교하는 삶에서 만족감을 얻는 사람, 어떤 이야기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남과 비교 하는 것 자체가 끝이 없다는 사실을 인지 해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난 것 자체가 환경을 비롯해 모든 것이 다르기에 비교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1억을 가진 사람은 10억 가진 사람을 부러워 해야 하고 10억을 가진 사람은 100억을 가진 사람이 부러울 것 입니다. 매일 매일 감사 하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 가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게 해야 합니다. 교회를 다니는 것도 좋고 매일 매일 감사 일기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 일 것 입니다.
학문 /
문학
1일 전
0
0
조심스럽습니다만의 뜻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조심 스럽다의 의미는 문장에 따라 다르게 해석 가능 하지만 위에서 예를 든 문장에서는 단정짓기에는 조심 스럽지만 , 즉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정도로 해석 가능 할 것 같습니다.
학문 /
문학
4일 전
0
0
사진으로 찍어 갭쳐 했습니다. 한글번역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아마도 이 한자는 언월 이라고 쓰인 것 같은데 이 의미는 '언(偃)'은 "눕다", "기울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월(月)'은 "달"을 의미합니다. 즉 반달을 의미 하는 한자어 입니다. 아마도 삼국지에 언월도 (偃月刀)라고 들어 보셨을 것 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관도 (關刀)가 있는데, 중국 삼국 시대 의 명장 관우 (關羽)가 이 무기를 사용한 것으로 삼국지에 묘사 되기도 합니다.
학문 /
문학
4일 전
0
0
노벨 문학상을 두 번 이상 수상한 사람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노벨상을 두번 받은 사람은 역사상 총 5명인데 노벨 문학상은 2번 이상 받은 사람은 없습니다.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 분야에서 나왔고 문학상은 없습니다.
학문 /
문학
4일 전
0
0
나라마다 그 나라 사람들의 습성을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어느 나라 던지 그 나라의 자연적이며 문화적인 특징은 존재 하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대륙에 사는 사람들은 우리 와는 반대로 모든 것을 천천히 하는 습관이 있으며 일본은 개인 보다는 집단의 문화를 중심 여기는 문화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문화가 발달 한 것도 그 예라고 보여 집니다.
학문 /
문학
25.10.07
0
0
배려는 나를위한걸까요 타인을 위한걸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배려는 사실 남을위한 일이기도 하고 본인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 원래 배려는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고 그들의 필요와 감정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나타내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나 자신도 다른 새람들을 통해 그런 대우를 받고자 하는 것이 기에 나 자신을 위한 배려 이기도 한 것 입니다.
학문 /
문학
25.10.07
0
0
우리나라에 이리나 늑대와 관련된 민담이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우리 한반도에는 원래 최상 포식자가 호랑이 였습니다. 그래서 원래 조선시대만 해도 늑대나 이라 같은 동물의 개체수가 호랑이에 밀려 매우 적었을 것으로 추정 됩니다. 실제로 한국 민담에 호랑이에 대한 민담은 많지만 늑대에 대한 민담은 없다시피한 상황이 바로 이를 증명 합니다.
학문 /
문학
25.10.03
0
0
“탁상공론”이라는 말의 기원이 어디서 비롯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탁상공론(卓上空論)이란 말 그대로 탁자 위에서만 펼치는 헛된 논쟁 이라는 의미로, 실현 가능성이 없는 허황된 이론을 가르키는 말로 우리 나라에서는 그 유래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시대 정도에 유래 된 것으로 추정 됩니다.
학문 /
문학
25.09.30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