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신상윤 전문가입니다.
검증된 의학적 근거에 따른 답변만 드립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512개
답변 평점
5
(113)
받은 응원박스
49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312개
친절한 답변
90
자세한 설명
85
명확한 답변
70
돋보이는 전문성
67
최근 답변
강아지가 갑자기 새벽에만 닫힌 문 앞에서 짖어요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설명해주신 패턴은 새벽 시간대에만 짖고, 닫힌 문 앞에서 냄새를 맡으며 사람의 존재를 확인하는 모습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불안, 의존 행동과 생활 리듬 변화가 겹쳐 생긴 반응으로 보입니다. 최근 집에 사람이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다면 강아지는 보호자와의 거리 변화에 더 민감해질 수 있고, 특히 새벽에 사료가 나오는 시간과 맞물리면 각성이 빨라지면서 보호자를 찾는 행동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전에는 문제없던 문 닫힘 상황이 갑자기 스트레스로 느껴지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집에서는 먼저 새벽 사료 급여 시간을 조절해 강아지가 스스로 깨는 패턴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동급식기가 새벽 각성의 주요 신호가 될 수 있어 급여 시간을 한두 시간씩 뒤로 이동시키면 안정감이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잠들기 전 짧은 놀이와 가벼운 간식을 제공해 포만감과 피로감을 만들어주면 새벽 깨움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문이 닫혀 있을 때 긴장하는 반응을 줄이기 위해 잠자는 공간 바로 밖에 담요나 집 형태의 안전한 장소를 만들어주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있으신 경우 댓글 적어주세요.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
반려동물 훈련
25.11.15
0
0
남매 강아지 산책을 어떻게 시켜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두 마리 모두 아직 4~5개월령의 어린 시기라서 호기심과 충동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자연스러운 단계입니다. 산책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의 모든 냄새와 물체가 탐색 대상이 되고, 서로의 흥분이 쉽게 전염되면서 싸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 마리가 먹이를 탐하면 다른 한 마리도 따라 하면서 행동이 강화되는 구조가 만들어져 보호자분께서 느끼는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싸움도 공격성보다는 흥분, 경계, 자원에 대한 경쟁이 섞여 나타나는 양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집에서는 산책 전에 짧은 시간 집중을 유도하는 연습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내에서 간식으로 이름 부르면 쳐다보기, 손에 집중하기, 따라 걷기 같은 간단한 패턴을 만들어두면 바깥에서의 흥분을 조금 줄일 수 있습니다. 산책은 길게 하기보다 짧고 자주 나누어 반복하는 편이 초기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며, 두 마리가 서로 흥분을 높이는 경우에는 출발 시 몇 분만이라도 한 마리는 방에 잠시 분리한 뒤 한 마리를 먼저 데리고 나갔다가 돌아오며 교대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적응시키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서로가 울어도 짧은 시간을 버텨보게 하며 분리 상황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서로 물어 상처가 생기거나, 한 마리가 위축된 채 공격을 반복적으로 받는 모습이 있을 때입니다. 이 경우에는 행동 전문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아직은 성장기의 과도기일 가능성이 높고, 보호자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산책 장소를 덜 자극적인 곳으로 옮기거나, 넓은 공간에서 줄을 짧게 잡고 ‘차분히 걷는 것’ 자체를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바닥 음식을 안 먹게 하는 것은 - 초기에는 줄을 짧게 하여 접근 자체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며,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연스럽게 횟수가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있으신 경우 댓글 적어주세요.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
반려동물 훈련
25.11.15
5.0
1명 평가
0
0
강아지 쿠싱과 부신종양 때문에 스테로이드 못쓰는 중이염은 무슨 약으로 치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중이염은 반드시 스테로이드를 써야만 치료되는 질환은 아니며, 원인과 염증의 깊이에 따라 배농, 혹은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균일하게 기울어진 머리 자세가 보일 때, 통증으로 만지기를 피하는 행동이 나타나는 경우 중이염에 대한 의심 및 방사선, CT 촬영이 필요할 수 있고, 배양 검사 결과에 따라 그에 맞는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배양 검사 없이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내성의 가능성이 있어 추천되지 않습니다.
반려동물 /
반려동물 건강
25.11.15
0
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신상윤 수의사
건국대학교
전문가 랭킹
-
반려동물 분야
-
학문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