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온난화가 되어 빙하가 다 녹는 다면 현 육지의 몇 퍼센트나 줄어 드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상의 모든 빙하가 녹았을 경우, 육지면적은 약 29% 감소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현재 지구 상의 빙하는 대략 14백만 km²이며, 이는 지구 육지면적의 약 10%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빙하가 다 녹았을 경우, 지구 육지면적은 현재의 10%에서 29%까지 감소할 것입니다. 이러한 감소는 지구의 해수면 상승과 관련이 있습니다. 빙하가 다 녹으면, 그 물은 바다로 흐르게 되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지구의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지구 생태계 및 인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Q. 지구가 자전하거 공전하는 현상을 어떻게 관찰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과 공전은 매우 느리고 규모가 큰 운동이므로 우리가 직접 관찰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첫 번째로, 지구의 자전은 하늘에 있는 별들이 이동하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이를 별궤도 혹은 별회 이동이라고 부르며, 지구가 돌고 있기 때문에 별들이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두 번째로, 지구의 공전은 계절 변화와 연관이 있습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태양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계절이 바뀌는 것입니다.세 번째로, 극광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지구 자석권이 변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태양에서 방출된 입자들이 지구로 향하면서 극광이 발생합니다.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Q. 스마트팜 기술은 우리나라가 최초로 개발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팜은 여러 나라에서 개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스마트팜의 기원은 미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20세기 초부터 농업 자동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1980년대부터는 컴퓨터 기술과 농업 기술을 결합하여 스마트팜이라는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스마트팜의 초기 형태는 농작물의 성장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이후 스마트팜은 센서, 인터넷,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되었으며, 현재는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빛의 밝기와 속도는 어떻게 측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밝기는 일반적으로 루멘(lumen)이라는 단위로 측정됩니다. 루멘은 인간이 인식하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는 광도계입니다.빛의 속도는 초당 299,792,458 미터(m)로 정의됩니다.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는 보통 광속계라고 불리며, 레이저를 이용하여 빛이 이동하는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여 빛의 속도를 계산합니다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원리는 먼저 빛이 발산되는 방향에서 일정한 면적을 가진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이 광도계는 일반적으로 밝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빛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광도계는 일반적으로 광전효과를 사용하여 빛의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광도계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루멘(lumen)이라는 단위로 표시되며, 이는 인간이 인식하는 빛의 밝기를 나타냅니다.빛의 속도는 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측정되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실험 중 하나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올레 로펜하우스(Ole Rømer)가 1676년에 수행한 실험입니다.로펜하우스는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천문대 중 하나인 파리 천문대에서 일하는 동안, 목성의 위성인 이오를 관측하다가 그 궤도가 지구상에서 가장 가까울 때와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간격의 차이를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그 간격의 변화가 지구와 목성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빛의 속도를 계산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로펜하우스는 빛의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했으며, 이후 많은 물리학자들이 이를 개선하여 더 정확한 값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