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업 중 질문을 못하고 항상 조용한 아이, 어떻게 하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성격과 성향으로 인해 수업 중 질문을 못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현재 초등학교 3학년 아이에게 왜 수업 중에 질문을 안하는지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 나름대로 다양한 이유가 있을꺼 같은데요. 챙피해서, 질문할 것이 없어서, 틀리는 질문일까봐, 친구들이 놀릴까봐, 수업에 집중을 못해서, 자신이 없어서 등의 이유에 따라 스피치로 자신감을 상승시켜주고 선행학습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며 집중력이 향상되어 적극적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Q. 아기가 태어난지 몇개월 후에 말을 하게될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아기들은 개인차가 있어 언어발달 속도가 모두 다릅니다. 아기들의 언어는 옹알이부터 시작하여 12개월 정도면 간단한 엄마나 빠빠 등 하게 되며 24개월이면 2~3개 단어를 연결하여 말을 하기 시작합니다. 26개월이라고 해도 옹알이를 활발하게 했거나, 말은 잘 못해도 손짓 등으로 의사 표현을 잘하거나, 부모의 말을 이해하고 간단한 지시를 따를 수 있는 경우라면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하지만 12개월이 지났는데도 반응이 거의 없는 경우, 눈을 잘 맞추지 않는 경우,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는 경우 등은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봐야 합니다.현재 26개월이고 말을 알아 듣는다면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듯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말문이 트이도록 언어발달에 도울 수있는 방법은 말 많이 걸어주기, 아기가 옹알이 등 말하면 대화에 맞춰 표현하기, 아기에게 질문하고 대담할 시간을 충분히 주며 기다려주기, 단순 단어를 문장으로 확장해 주기, 책 많이 읽어주기, 또래 아이들과 함께 놀고 어울리며 말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주기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