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단아한부전나비107
단아한부전나비107

아이의 자폐증상에 대해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직 100일이 안된 애기가 있습니다,

애기가 자폐인지 아닌지 확인하고 싶은데, 뭐가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100일이라면 자폐를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아이의 발달도 100일때는 크게 두드러지거나 특정행동이상이 나오기는 어렵기에

      조금더 크게 지켜보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 얼굴 모습이 무표정하게 보이는 경우나 36개월이 넘었음에도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고 엄마나 아빠처럼 단순한 단어들만 사용하는 경우,

      눈을 잘 마주치지 않고 옹알거리지 않으며 잘 어울리지 않는 등 혼자서만 놀려고

      하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면 가까운 상담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에 반응을 하지 않거나, 초점이 잘 마주치문지를 먼저 유심히 살펴보도록 하세요.

      하지만 아기 자폐 증상은 보통 3세 이후에 눈에 보이는 현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첫째, 얼굴 모습이 무표정 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둘째, 언어소통의 문제가 있습니다. 보통 18~24개월이 되었을 때 간단한 말을 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자폐가 있으면 35개월이 넘어가도 소통이 잘 되지 않고, 엄마와 아빠처럼 쉬운 단어만 사용합니다. 만5세가 되더라도 3세 정도의 언어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셋째, 혼자서 놀려고 합니다. 눈을 마주치지 않고 옹알거리지 않고, 잘 안 어울리며 혼자서 놀고 싶어합니다.

      넷째, 집착입니다. 특정 물건에 대해 애착이 있고 가지고 싶어 합니다. 특정색깔, 장소만 너무 좋아하고 고집을 강하게 부리면 검사를 받아보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는 보통 24개월 이후에 판정이 되기 때문에 지금부터 자폐인지 확인하기에는 어렵습니다.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며 이름을 불러도 호명 반응이 없는 증상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3개월에서 4개월 무렵까지 엄마 아빠를 보고 웃지 않거나, 8개월 정도부터 낯가림이 없거나, 사회적 신호를

      인식하거나, 표현하는 데 문제가 생기면 자폐의 증상일 수 있으니, 상담을 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아직 100일면 자페 증상을 알아 차리는 것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아이가 좀 더 자라면, 호명 반응이 되지 않거나, 상호작용이 전혀 되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상담을 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나 가족들, 또는 아는 사람이 접근했을 때 웃는 경우가 드물다

      팔 손다리를 뻣뻣하게 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자세를 반복적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유아기때 자폐증상 확인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3가지 정도 있는데요.

      집에서도 쉽게 테스트 할 수 있어요.

      1. 호명반응: 이름을 불렀는데도 아무런 반응이 없을때.

      2. 눈맞춤 : 눈을 마주치지 않아요. 눈을 마주하는것이 아니고 그냥 스쳐요.

      3. 감정공유 : 다른사람이 웃기면 웃고, 울면 아이들도 울어요.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지만 3가지가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