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길에서
길에서23.03.15

2023년 상반기 미국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2023년 상반기 미국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소비자 물가지수는 낮아졌고 각종 지표들의 상황도 호전된것 같은데..기준금리는 예상이 안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2023년도의 FOMC회의 일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앞으로 상반기에는 3월 23일, 5월 4일, 6월 15일 이렇게 3번의 금리인상이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이 증가하고 은행들의 파산으로 인해서 경기침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연준의 금리인상이 굉장히 어려워진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3월 23일의 금리인상 예상은 0.25%로 거의 확실시되고 있으며, 앞으로 2번의 금리인상에서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다시금 빠르게 상승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한다면 0.25%의 추가금리 한번 정도 혹은 동결로 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값을 바탕으로 에상하게 된다면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4.5%에서 추가적으로 0.25%의 금리인상을 1번 혹은 2번정도가 예상되기에 상반기 최종 금리는 4.75%~5%정도가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기존에는 금리를 6%까지 올릴수도 있다고 하였지만 최근의 SVB 파산과 CPI 발표를 종합하여 볼 때

      금리 인상속도를 조절할 가능성이 높고 점차 정점에 다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상반기 까지 최대 금리는 5.5% 이고 최저는 약 5%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지금 추세라면 상반기 5%까지는 염두해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문제가 6% 아직도 높은 물가라는 점에서 금리 4.5%가지곤

    2% 목표물가까지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았기 때문인데요.

    svb 여파가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그렇더라도 올릴 수 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PCE 근원물가는 오히려 0.5% 올랐으니 이번은 쉬어 갈 수도 있겠지만 0.25%~0.5% 는 더 오를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에 대한 연준의 결정은 인플레이션, 고용 및 GDP 성장을 포함한 광범위한 경제 지표 및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연준은 이러한 요소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는 이중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통화 정책을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소비자 물가 지수의 하락으로 일부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될 수 있지만 임금 상승 및 공급망 붕괴와 같은 다른 지표는 계속해서 가격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미래 금리의 경로는 불확실하며 예측하기 어려운 경제 및 시장 요인의 복잡한 조합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개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연방 준비 은행 및 기타 중앙 은행의 최신 신호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미국의 금융기관 등이 파산하는 등

    이에 따라서 연준에서 급격한 금리인상은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아무도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인데요. 개인적으로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6%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결국,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금리를 인상할 것인지, 아니면 금융기관의 파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금리 인상폭을 낮출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물가를 잡으려고 금리를 6%까지 인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5.25 정도 예상합니다. 최소 5프로 이상은 갈것 같습니다. SVB 사태로 일단은 금리 인상 기조는 약해졌지만, 아직도 고물가는 유지 수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수준에서 크게 높아질거 같지는 않습니다.

    현재가 4.75%포인트인데 5%수준에서 더 높이기는 어려울것으로 예상됩니다.

    CPI가 아직 6%대로 높아지고 있으나 시장 예상치에 부합되고 있고, 은행 파산의 영향이 큰 상황에서 소비심리가 위축될 것이고 경기침체의 징후들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 향후 투자나 경제활동 관련해서는 시간을 두고 추이를 보면서 진행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