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항이뇨 호르몬은 항상 분비가 되는 상태인가요? 그리고 오줌이 마려울 때 참으면 안마려운 이유가 뭔가요?
물 많이 마시면 항이뇨 호르몬 분비가 적어지는건가요 되지 않는건가요만약 적어지는거면 항이뇨 호르몬은 항상 분비가 되고 있는 상태인가요?
물 많이 마셔서 오줌이 마려울 때 잠깐 시간이 지나면 안마려울 때가 있는데 이건 항이뇨 호르몬이 분비가 됨으로 일어나는 현상인가요 아니면 다른 작용이 일어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이뇨 호르몬은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는 신장의 수분 흡수를 조절합니다. 항이뇨 호르몬은 항상 분비되는 것이 아니고, 신체의 수분 상태에 따라 분비량이 조절됩니다.
오줌이 마려울 때 참으면 안 마려운 이유는 방광 내부의 신경 세포들이 신호를 보내어 뇌가 이를 해석하기 때문입니다. 이 신호는 방광이 가득 찼을 때 발생하며, 참는 것은 방광에 압력을 가해 신경 세포들이 더 강한 신호를 보내어 마려움을 느끼게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