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NEW
학문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

김지호 박사 프로필 사진
김지호 박사
프로필 보기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

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

  • 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

  • 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

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광합성>

  • 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

  • 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

  • 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

<C₄ 광합성>

  • 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

  • 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

  • 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적 적응을 하는데요,

  • 두꺼운 잎 또는 줄기: 수분 저장

  • 기공 위치와 크기 조절: 잎 뒷면이나 미세한 기공 → 증발 최소화

  • 왁스층 또는 털: 수분 손실 억제, 햇빛 반사

댓글0
김지호 박사
서울대학교
김지호 박사 프로필 사진
유저 프로필 이미지
0/ 500
댓글 아이콘필담이 없어요. 첫 필담을 남겨보세요.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