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학문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
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
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
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
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광합성>
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
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
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
<C₄ 광합성>
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
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
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적 적응을 하는데요,
두꺼운 잎 또는 줄기: 수분 저장
기공 위치와 크기 조절: 잎 뒷면이나 미세한 기공 → 증발 최소화
왁스층 또는 털: 수분 손실 억제, 햇빛 반사

김지호 박사
서울대학교


0/ 500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
- NEW학문산과 염기산(Acid)과 염기(Base)의 정의1)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Proton 기준)산(Acid):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내놓는 물질 ex) HCl → H⁺ + Cl⁻염기(Base):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받아들이는 물질 ex) NH₃ + H⁺ → NH₄⁺2) 루이스 정의 (전자쌍 기준)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전자 수용체) ex) BF₃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전자 공여체) ex)NH₃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H⁺ 이동에 초점,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 이동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김지호 전문가・2029
- 학문한국 고유 전통문화의 문화컨텐츠 부흥을 꿈꾸다.....Preface이번 주도 하루를 당겨서 잉크를 쓰기로 하였습니다.아무래도 정신을 집중히야 글을 쓸수 있는 시간이 귀하다보니, 기회가 생겼을 때 빨리 써놓아야 금주의 잉크를 빼먹지않게 됩니다....한국 전통문화의 문학화, 애니화, 소설화, 영화화, 드라마화, 게임화를 꿈꾸다.....흔히들 요즘 유행어가 : 이번 생은 망했다.. 다음 생에서 잘해봐야지.. 이런 유행어가 많이 있습니다.이번 우주는 망했다.. 다음 평행우주에서는 명성황후가 온라인 전략시뮬레이션에서 신무기 비밀개발을 유료결제하여, 러-일을 모두 동시에 물리치는 가상역사 시뮬레이션 게임을 플레이하고 싶습니다...만화방을 갔더니, 을지문덕 대하시리즈가 1~200권까지 한번에 EBOOK으로 구매할수 있는 할인티켓코드를 25불에 할인해서 팔고있었습니다... 이런 평행우주가 다음에 있으면 좋겠습니다..넷플릭스를 열었더니, 쿄토를 배경으로하여 특색있는 작품들을 선보인 모리히토미히키의 작품을 애니화한것이 아니고, 신라의 달밝은밤의 첨성대를신필욱 전문가・30730
- 학문동양의 고전을 찾아서 떠나는 대여행 - 삼각의 완벽성, 삼국지....Preface금주의 잉크는 하루를 당겨서 쓰기로 하였습니다.두가지 이점을 발견을 하였습니다.주말 내내 무엇을 쓸지 고민을 줄일수 있다는 점과, 고민하다 한주를 그냥 빼먹는 건너뛰기를 방지할수 있다는 점입니다....삼각형의 완벽성으로 인하여 시대를 초월한 히트작으로 남아있는 삼국지... 그 중심의 최고 재미를 주는 삼각관계... 삼국지는 또 읽고 또 읽어도 재미가 있습니다.제갈량의 적벽대전, 유비-관우-장비의 무용담... 조조 손권 등 삼국의 영웅들...그런데, 유독 이 삼국지가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장시간 히트를 기록하는 이유는 이 "삼각형"의 안정성과 긴장감을 주제로 하였다는 것이, 역시나 몇천년의 역사동안 3각의 경쟁과 대립 및 상호발전 교류를 이룬 동아시아의 3국에서 히트한다는 것이 참 신기하다고 하겠습니다.그런데 본 편에서는, 이 삼각의 완벽성을 보여주는 삼국지 중에서도 가장 재미있는 편으로 유비-관우-장비, 조조 등이 아닌.... 동탁-여포-초선의 삼각관계 편에 주목하고자신필욱 전문가・10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