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김지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친절하게 지식을 공유하겠습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8,597개
답변 평점
4.9
(1,346)
받은 응원박스
61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2,403개
친절한 답변
639
자세한 설명
612
돋보이는 전문성
579
명확한 답변
573
최근 답변
뉴클레오타이드의 syn, anti형
안녕하세요.질문해주신 뉴클레오타이드의 syn형과 anti형은 염기가 당 위에서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하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입체적 구조 차이입니다. 즉, 염기가 당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결과 만들어지는 두 가지 대표적인 형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뉴클레오타이드는 당의 1번 탄소(C1')에 염기가 결합하는데요, 이때 염기가 당 위에 어떤 방향으로 누워 있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우선 anti형은 염기가 당으로부터 바깥쪽, 즉 떨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입니다. 가장 안정적이며 자연에서 대부분의 DNA와 RNA가 이 상태이고 이 형태일 때 이중나선 구조가 정상적으로 형성됩니다.다음으로 syn형은 염기가 당쪽으로 안쪽, 즉 내부 방향을 향하여 겹치듯이 기울어진 상태입니다. 입체적 충돌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불리하며 잘 나타나지 않지만 퓨린계 염기에서 일부 존재할 수 있으며, 특히 Z-DNA에서는 구아닌이 syn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시간 전
5.0
1명 평가
0
0
본인이 멀티태스커 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람이 진짜 멀티태스킹이 가능한가?
안녕하세요. 인간은 실제 의미의 진짜 멀티태스킹을 거의 할 수 없습니다. 두 가지 일을 독립적으로 동시에 완전히 집중하여 처리하는 것은 뇌의 구조상 대부분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져 있는데요, 사람이 멀티태스킹이라고 느끼는 대부분의 경우는 두 작업 사이를 매우 빠르게 전환하는 것입니다.인간은 멀티태스킹이 어려운 이유는 뇌의 전전두엽의 구조 때문인데요, 전전두엽은 주의 집중, 판단, 계획, 작업 기억을 담당하는데 이 부위는 한 번에 하나의 주요 인지 업무만 처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두 가지 복잡한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려고 하면 전전두엽이 과제 간 전환을 반복하며 전환할 때마다 시간이 소모되고 집중력이 분산되어 실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예를 들어서 음악 듣기는 대부분 자동처리 단계로 뇌 자원을 거의 소모하지 않는데요, 그러나 가사가 있는 음악은 언어 처리 영역을 방해하여 공부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립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음악을 들으면서도 충분히 다른 일을 한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음악이 아주 낮은 인지 부담을 가진 상태라 가능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1일 전
0
0
물고기는 상처 발생시에 어떻게 해서 치유과정을 거치게 되는지 궁금해여?
안녕하세요.물고기는 물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상처 부위가 바로 물과 접촉하게 되고, 육지 동물처럼 두꺼운 피부나 딱딱한 딱지가 생기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물고기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혈소판이 있으며, 상처가 생기면 혈소판이 상처 부위에 모여 혈액 응고를 시작합니다. 다만 육상 동물처럼 건조한 딱지가 두껍게 형성되기보다는 얇고 젤리 같은 막 형태로 응고층이 형성됩니다. 이 막은 물속에서도 쉽게 떨어지지 않고 상처 부위를 보호해 줍니다.또한 물고기 피부에는 항상 점액층이 존재합니다. 상처가 생기면 점액 분비가 더 증가하여 세균 침투를 막고 상처 표면을 덮어 물리적 보호막을 형성하며 회복에 필요한 세포가 자리 잡도록 도와줍니다. 즉 개구리의 점액 보호 메커니즘과 매우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1일 전
5.0
1명 평가
0
0
잉크
작성한 글
2개
받은 잉크 수
13
글 조회수
1,876회
잉크
학문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광합성>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C₄ 광합성>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적 적응을 하는데요,두꺼운 잎 또는 줄기: 수분 저장기공 위치와 크기 조절: 잎 뒷면이나 미세한 기공 → 증발 최소화왁스층 또는 털: 수분 손실 억제, 햇빛 반사
25.08.22
8
0
1,135
학문
산과 염기
산(Acid)과 염기(Base)의 정의1)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Proton 기준)산(Acid):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내놓는 물질 ex) HCl → H⁺ + Cl⁻염기(Base):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받아들이는 물질 ex) NH₃ + H⁺ → NH₄⁺2) 루이스 정의 (전자쌍 기준)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전자 수용체) ex) BF₃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전자 공여체) ex)NH₃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H⁺ 이동에 초점,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 이동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
25.08.22
5
0
741
김지호 박사
서울대학교
전문가 랭킹
학문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