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는 언제 뽑아야 할까?
안녕하세요 목동안치과의 안상우 원장입니다.
오늘은 사랑니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해보고자 합니다.
사랑니에 대해서는 한번쯤은 들어보신적이 있으실꺼에요.
사랑니는 치아의 제일 뒤에 있는 치아로 제3대구치라고도 합니다. 막니라고도 해요.
맨 뒤에 있기 때문에 인지를 못하는 경우도 있고 맨 뒤에 있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잇몸 밖으로 나오지 않는경우도 있습니다.
사랑니는 우리몸의 진화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먼 옛날 우리의 선조들의 음식들은 대부분 질긴경우가 많았어요.
조리가 되지 않았거나 잘 다듬어지지 않은 음식 들이었겠죠
질긴음식을 먹기 위해서는 턱이 커야 했고 치아가 많아야 했어요.
그래서 사랑니가 정상적인 대구치처럼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음식이 부드러워지고 섭취하기 쉬워지면서 현대인들은 원시의 선조들보다 턱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맨 뒤에 있는 치아는 있을 자리가 없어지면서 비정상적인 형태로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사랑니는 어떻게 보면 퇴화하는 기관중에 하나에요.
이 사랑니는 어떤 경우에는 그냥 두거나 사용할수 있고 어떤경우에는 뽑아야 하는경우도 있습니다.
사랑니는 치아 중 맨뒤에 나는 치아로 칫솔질로 관리하기 힘든 위치에 있습니다.
정말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하지 않는 이상 이 부위에는 이물질이 자주 저류되게 되요.
사랑니가 아예 잇몸안에 들어가 있다면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랑니가 구강내로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맹출했을 경우에는 사랑니 주변에 이물질이 남아 있을수 있습니다.
우선 뽑아야 하는 사랑니중에 첫번째는 일단 충치가 생겨서 통증을 유발할 때입니다.
이런경우에는 관리가 잘 안되는것이기 때문에 발치를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충치가 있어도 똑바로 나와 있으면 치료를 해서 사용할수도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치아가 뒤에 있어서 치료가 다른치아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워서 치료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두번째 경우로는 사진과 같이 사랑니가 팔자좋게 옆으로 누워있다면 발치를 해야 하는 대표적인 사랑니중에 하나에요.
사랑니가 기울어져 있게 되고 잇몸에 부분적으로 맹출되어 나와 있게 되면 사랑니와 앞에 있는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자주 들어 갈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잇몸에 염증을 일으킬수 있거나 앞에 치아에 충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사랑니라면 발치 해줘야 합니다.
사랑니는 위아래 같이 존재하게 되는데 한쪽의 사랑니는 똑바로 나왔는데 다른 쪽 사랑니가 나오지 않았거나 발치되었다면 맹출되어 있는 사랑니가 정출될 수 있습니다.
치아가 정출되게 되면 치열이 어긋나게 되어 해당부위에 음식물이 들어 갈수 있어요.
또한 반대편 잇몸을 자극하게 되어 잇몸에 상처가 나고 통증이 있을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발치를 해야 하는경우입니다.
일단 사랑니가 똑바로 나와 있고 위아래 치아가 정상적으로 교합을 하고 있다면 발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랑니가 정상적으로 물리게 된다면 저작하는 기능이 증가하게 되어 다른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게 됩니다.
또한 뽑지 않아도 되는 사랑니로는 완전하게 잇몸안에 들어가 있어서 앞의 치아나 잇몸에 이물질을 저류시키지 않는 경우 입니다.
잇몸안에 완전히 들어가 있고 특별한 병소가 없다면 발치를 할필요가 없어요.
어떻셨나요 자신의 사랑니를 뽑아야 하는지 아닌지는 사랑니가 난 형태와 위치를 확인해보세요.
사랑니가 잘 기능을 하고 주변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다면 발치를 해야 하는것인지 아닌지 구분을 할수 있습니다.
치아는 하나라도 더 있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사랑니를 가지고 있으신분들도 사랑니라고 너무 소홀해 해지 마시고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 의료상담치과에서도 원인을 못 찾은 턱 통증, 혹시 이런 문제일까요?턱 통증, 치과 문제가 아니라면?턱에 통증이나 씹는 근육(저작근) 근력 약화때문에치과에 가보셨으나 이상이 없다고 별다른 치료를 하지 못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턱에 불편함이 있거나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해당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면의심해볼만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목 통증과 턱 통증의 연결고리혹시 목 통증이 있거나 경추 디스크가 있으신가요?만약에 목에 디스크나 다른 질환이 있다면,경추 디스크가 저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접적인 긴장 유발 등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보통 경추 디스크로 목, 어깨, 팔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턱주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저작근 운동에도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일부 논문에는 목의 안정성이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이러한 경우라면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싱경외과 등을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박인국 물리치료사・201,049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최종편)여러분들께 저의 경험을 스토리에 따라서 함께 공유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흉터 성형수술의 적절한 시기는?보통 3-6개월 이후 흉터가 안정화 되고 시행하는것이 결과가 좋습니다.구축성, 켈로이드, 비대흉터 혹은 근육의 기능적 결함에 따라 수술시기는 빨라질 수도, 늦혀질 수도 있습니다.흉터가 생각보다 많이 남겠군....이라고 생각하며 6개월 후 수술을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지내기로 하였습니다.봉합후 9일째, 실밥풀고 3일째 사진보습열심히 하고 흠만 매꿔주다가 흉터남으면 그부분만 흉터성형수술을 다시 해야지~ 라고 말입니다.아! 그동안 실밥풀고 2주가 지나서는 더이상 듀오덤드레싱은 의미가 없을것 같아 시행하지 않고와이프가 세로 미간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보톡스나 맞자 해서 와이프의 병원에 방문하여4개월 간격으로 미간 보톡스만 투여 받았습니다. 이 동안 해외여행도 4군데나 다녀왔는데요, 실밥풀고 3주가 된때 다녀온 해외 여행 기간동안에는 밖에 외출시에는 선크림과 모자를 필수로 열심히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522,061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3탄입니다!실밥제거후 3일 후, 즉 봉합 후 9일째가 됬을때 찍은 사진 공유드립니다.5일째 반틈, 6일째 전체를 실밥 제거했지만 조금 남은 지네발과 같은 흠이 있고눈썹으로 이어지는 아랫쪽 부분은 염증반응과, 괴사로 인해서 상처가 일부 작은 착색도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편에서 말씀드린 것과같이 여기서는 선택 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실밥제거 후 도대체 뭘 할수 있을까? (저의 상처에 대해서 한정, 환자분들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할 수 있음)흉터연고 - 대다수의 흉터연고는 튀어나온 흉터에 대해서 상처를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저는 상처의 튀어나옴이 없어서 흉터연고 및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레이저 - 착색량이 많지 않았기에 굳이 레이저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보습 - 보습에 엄청 관심을 가졌습니다. 주위에서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먹고 조직들이 잘 아물 수 있도록...홈이 있다면 듀오덤 드레싱 지속하기 - 하지만 듀오덤 드레싱이 피부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302,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