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져서 치아가 손상되었다면
안녕하세요 목동안치과의 안상우 원장입니다.
오늘은 치아가 원치않은 충격으로 깨지거나 빠지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 합니다.
치아에 손상이 가해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수 있어요.
넘어졌을 수도 있고 사고가 날수도 있구요
또한 과격한 운동을 하다가도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수 있어요
당연히 치아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은것이 제일좋겠지만 불가항적인 원인으로 치아에 손상이 가해진다면 정말 마음으로나 심적으로나 상실감이 클수 있습니다.
치아가 외부충격으로 손상을 받았을 경우에 어떻게 조치를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자 일단 치아에 충격이 가해졌다면 손상된 범위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치아가 부분적으로 파절되고 흔들리지 않는다면 우선 안도할수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파절된 범위에 따라 파절된 부위를 메꿔주거나 보철치료를 하면되요.
근데 치아에 충격이 많이 가해져서 치아가 흔들리거나 빠진다면 이건 매우 걱정해야 하는상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치아를 상실할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그럼 치아가 많이 흔들리거나 충격에 의해서 빠졌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치아가 충격에 의해서 빠졌을때 다음 3가지 단계를 지키셔야 합니다.
외부 충격으로 인해서 치아가 빠지게 된다면 치아 표면이 감염되고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일입니다.
제일 우선적으로 해야할것이 치아주변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치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제거할때는 치아의 머리를 잡고 치아 뿌리쪽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흐르는 물에 씻어야 해요.
치아 뿌리 주변엔 치주인대라고 하는 치아와 잇몸뼈를 연결해주는 조직이 있습니다.
이 치주인대는 잇몸뼈에 위치시켰을때 치아뿌리와 잇몸뼈가 재생될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조직입니다.
깨끗하게 씻는다고 이부위에 손상이 가해지게 되면 치주인대조직이 손상받게 되어 재위치 시켰을때 회복 되지 않을수도 있어요.
치아를 깨끗하게 세척을 했다면 다음 과정은 치주인대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존해야 합니다.
빠진치아의 치주인대가 보존하기 위해서는 몸과 제일 비슷한 환경에 보존을 해야 합니다
우선 제일 좋은 방법은 치아가 깨끗하다는 전제하에 치아를 빠졌던 부위로 재위치 시키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이것은 치아가 빠져서 치아 뿌리 주변이 외부물질에 닿거나 하지 않은 상태여야 해요.
약간 탈구된 상태에서는 치아를 살짝 밀어넣어서 고정시킬수 있는 방법도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적절한 운반액에 보관을 해야 합니다.
이 운반액에는 제일 좋은 방법은 몸의 삼투압과 같은 생리식염수에 보관을 하는것입니다. 그다음으로 좋은 방법은 우유나 물에 보관을 할수도 있어요.
치아 뿌리표면이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제일중요합니다.
그 다음에 하실일은 최대한 빨리 가까운 치과나 응급실로 달려가세요
시간이 생명입니다.
치아뿌리의 표면의 치주인대가 잘 유지 된다면 병원에서 손상정도를 판단하고 세정과 소독을 해서 잇몸뼈에 재 위치를 시키게 되요.
이후에 치아를 주변치아와 고정시킵니다.
이미 치아 안의신경은 생활력을 상실하기 때문에 감염에 의해서 괴사될수 있어서 신경치료를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치아가 빠질정도의 충격이 가해져도 치아 뿌리의 인대가 잘 남아 있고 치조골의 손상이 적으며 감염이 되지 않으면 원상태로 치조골과 결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치아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것이 제일 중요하지만 어쩔수없이 치아가 외부충격으로 인해서 흔들리거나 파절이 되었다면 빠른시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셔야 합니다 가까운 치과병원에서 진료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막상 치아가 빠지는 황당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아무것도 생각이나지 않기 때문에 미리 숙지를 하고 있는것이 좋아요.
- 의료상담치과에서도 원인을 못 찾은 턱 통증, 혹시 이런 문제일까요?턱 통증, 치과 문제가 아니라면?턱에 통증이나 씹는 근육(저작근) 근력 약화때문에치과에 가보셨으나 이상이 없다고 별다른 치료를 하지 못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턱에 불편함이 있거나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해당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면의심해볼만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목 통증과 턱 통증의 연결고리혹시 목 통증이 있거나 경추 디스크가 있으신가요?만약에 목에 디스크나 다른 질환이 있다면,경추 디스크가 저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접적인 긴장 유발 등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보통 경추 디스크로 목, 어깨, 팔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턱주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저작근 운동에도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일부 논문에는 목의 안정성이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이러한 경우라면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싱경외과 등을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박인국 물리치료사・201,208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최종편)여러분들께 저의 경험을 스토리에 따라서 함께 공유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흉터 성형수술의 적절한 시기는?보통 3-6개월 이후 흉터가 안정화 되고 시행하는것이 결과가 좋습니다.구축성, 켈로이드, 비대흉터 혹은 근육의 기능적 결함에 따라 수술시기는 빨라질 수도, 늦혀질 수도 있습니다.흉터가 생각보다 많이 남겠군....이라고 생각하며 6개월 후 수술을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지내기로 하였습니다.봉합후 9일째, 실밥풀고 3일째 사진보습열심히 하고 흠만 매꿔주다가 흉터남으면 그부분만 흉터성형수술을 다시 해야지~ 라고 말입니다.아! 그동안 실밥풀고 2주가 지나서는 더이상 듀오덤드레싱은 의미가 없을것 같아 시행하지 않고와이프가 세로 미간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보톡스나 맞자 해서 와이프의 병원에 방문하여4개월 간격으로 미간 보톡스만 투여 받았습니다. 이 동안 해외여행도 4군데나 다녀왔는데요, 실밥풀고 3주가 된때 다녀온 해외 여행 기간동안에는 밖에 외출시에는 선크림과 모자를 필수로 열심히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522,254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3탄입니다!실밥제거후 3일 후, 즉 봉합 후 9일째가 됬을때 찍은 사진 공유드립니다.5일째 반틈, 6일째 전체를 실밥 제거했지만 조금 남은 지네발과 같은 흠이 있고눈썹으로 이어지는 아랫쪽 부분은 염증반응과, 괴사로 인해서 상처가 일부 작은 착색도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편에서 말씀드린 것과같이 여기서는 선택 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실밥제거 후 도대체 뭘 할수 있을까? (저의 상처에 대해서 한정, 환자분들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할 수 있음)흉터연고 - 대다수의 흉터연고는 튀어나온 흉터에 대해서 상처를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저는 상처의 튀어나옴이 없어서 흉터연고 및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레이저 - 착색량이 많지 않았기에 굳이 레이저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보습 - 보습에 엄청 관심을 가졌습니다. 주위에서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먹고 조직들이 잘 아물 수 있도록...홈이 있다면 듀오덤 드레싱 지속하기 - 하지만 듀오덤 드레싱이 피부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30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