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화상카메라로 보는 세상
3일 전과학 기술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는 도구들은 아주 다양합니다.
길이 측정은 자, 온도 측정은 온도계 등 다양한 도구들을 이미 일상 생활 속에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도구들 중에서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이전 전문가들에게 주로 익숙하였던 열화상카메라가 일상생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도 이제는 한개의 내용으로 추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열화상카메라는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도구 입니다.

가정용 온열 매트 측정 결과

고양이 피부 온도
전기 매트나 고양이 처럼 표면 온도를 측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표면이 어떤 물질의 표면 특성을 가진 것인지 확인이 제일 중요합니다.
이러한 상태량을 방사율 이라고 합니다.
방사율은 물질 마다,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입니다.
시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열화상카메라 들은 일부는 방사율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변화시킬 수 없는 모델들과,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표면의 방사율을 표면에 맞게 변화시켜 촬영할 수 있는 모델들이 있게 됩니다.
꼭 확인하시고 사용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열화상카메라를 활용할 수 있는 예를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표면의 위치별 변화 특성이 차이가 있다면, 즉 섬유의 일부는 물이 흡수되어 있고, 일부는 흡수되어 있지 않다면
표면이 변화되어 이미 다른 방사율을 가진 표면으로 변경된 것이므로,
아래 이미지들에서와 같이 다른 온도 인 것처럼 나타나서, 확실하게 변화된 차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물이 담긴 컵속에 잠긴 섬유의 물 흡수 특성
좀더, 다양한 활용 가능성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