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or Moneys?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영어 단어들의 숨은 용법-1]
안녕하세요. 영어 단어는 알면 알수록 우리에게 새롭게 다가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나 표현의 숨은 다른 뜻이나, 용법 상의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money입니다.우리에게 돈으로 알려져 있는 단어인데, 일반적으로 money는 단위나 개별적 화폐가 아닌, 추상적 개념인 "금전'의 의미로 불가산명사로 취급합니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화폐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 moneys가 쓰입니다. 예를 들어, the moneys of several countries(여러 나라의 화폐) 정도가 되겠습니다. 또한, 복수형은 회계 보고서, 법률 문서 따위에 「금액」(sum of money)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가령, Of the moneys now due all but one or two will be collected on schedule.(지금 기한이 찬 금액 중, 한둘을 빼고서는 다 예정대로 수금될 것이다).
다음으로, as good as 입니다. 본래 '~만큼 좋은'의 뜻으로 쓰이지만, 이때는 두 가지 사물을 비교할 때만 사용이 됩니다. 비교를 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사실상', '실제로'의 의미로 'in effect' 혹은 'practically'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가령, He as good as promised it to me(그는 그것을 나에게 약속한거나 다름 없다)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as much as가 있겠습니다. as much as는 비교에서 '~만큼 많이'의 뜻으로 쓰이지만, '실제로(=practically)'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He as much as told me(그는 나한테 말한거나 다름 없다)"같은 문장이 있겠습니다.
또한, as much는 구어에서 '그렇게(so)', '이것(this)'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I thought as much(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혹은 'He said as much(그는 그렇게 말했다), 혹은 He admitted as much(그는 이것을 인정했다)정도의 예문이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살펴볼 단어는 good and입니다. good과 and모두 아는 단어 이지만, 이 둘이 결합해 있으니 좀 어색해 보이긴 합니다. 이는 미국 구어에서 '대단히(very)', 완전히(completely)'의 강조어로 형용사와 부사에 앞에 쓰입니다. This soup is good and hot(이 국은 아주 뜨끈뜨끈하다), South Americans are good and mad at the United States(남 아메리카인들은 미국에 대해 대단히 화가 났다), Heis running good and fast(그는 아주 빨리 달린다)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도 좋은 내용으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위 내용은 「영어 관용법 사전」을 참고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학문What we shoud do in order to expand more so-called K-culture industry?!!K-Culture, K-Pop, K-Ramyun...We are facing K-revolutions in every corners of our society in these days.However, we can see more rooms in these booming of K-waves, as well as some improvements which we should have implemented in more elaborate details.For a dimensional aspect of K-waves, we see some lacks in a depth, in a more embracing of traditional cultural assets by the possibility aspect.When mentioning a depth word, we want more originality of our own Korean style in any kind of K-medias an신필욱 전문가・30654
- 학문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안녕하세요!과학으로 세상과 소통하는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중철 전문가입니다. 👩🔬 요즘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가락질 받는 물질, 바로 플라스틱이죠. 🥤💧🧸 페트병, 일회용 컵, 장난감까지 우리 삶 어디에나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플라스틱은 인류가 상상만 하던 '꿈의 신소재'였다는 사실!1950년대, 플라스틱 개척자 ‘락희(樂喜)화학’의 탄생?!그리고 국내에서는 국내 최초,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도입과 플라스틱 가공 제품을 생산한 바로 그 기업!우리에게 익숙한 LG라는 대그룹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지요~.🫣과연 이 물질에는 어떤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기에,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가 환경의 적으로 전락한 걸까요? 원유 한 방울의 변신, 플라스틱의 탄생🛢️➡️♻️혹시 플라스틱이원유(crude oil)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이중철 전문가・51862
- 학문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김지호 전문가・60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