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수익률 8% : 파란만장한 역사를 겪어온 산업용 리츠
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요즘 미국 리츠 시장에서 배당을 30년 넘게 깎지 않고 꾸준히 주는 회사는 생각보다 드뭅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8% 안팎의 배당을 뿌리는 리츠가 버티고 있으니 그 주인공이 바로 One Liberty Properties(OLP)입니다.
1 . One Liberty Properties(OLP) 소개
OLP는 미국 상장 리츠(부동산 투자신탁)로 원래 소매용 부동산 위주였던 포트폴리오를 산업용(물류창고, 유통센터 등)으로 확 갈아탄 회사
2025년 기준 임대수익의 70% 이상이 물류창고 등 산업용 부동산에서 나오고 나머지 잡다한 상업용 부동산은 줄이고 있음
본사는 메릴랜드에 있고 외부 위탁 없이 직접 부동산 관리하는 자기관리형 리츠
미국 31개 주에 100개가 넘는 건물을 직접 챙기고 임대계약 대부분이 순임대(net lease) 구조라 임대료만 따박따박 받는 구조
임대율이 98%를 넘고, 건물 놀릴 일이 거의 없는 안정적인 임대 시스템을 자랑
1990년대 초부터 한 번도 배당을 빼먹은 적이 없고 2025년 기준 129분기 연속 배당 지급에 단 한 번도 배당 삭감 없이 유지 혹은 인상만 해 온 리츠
전체적으로 고배당+장기 배당 트랙레코드에서 손에 꼽히는 리츠
2. OLP의 배당 지속 가능성과 재무 구조
2025년 기준 배당수익률은 8% 안팎으로 웬만한 BDC들보다 더 높음
AFFO(조정운용현금흐름) 대비 배당 지급률이 90% 초반으로 리츠 법적 기준과 거의 똑같은 수준임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 커버리지는 2.6배, 감가상각 등 뺀 EBITDA 기준으론 3배 가까이 돼서 업계 평균은 나옴
이자비용이 최근 급격히 늘었지만 아직까지는 이자 갚느라 허덕이지는 않는 수준임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비율은 1배 내외로 단기부채 상환엔 큰 무리가 없음
다만 배당금이 현금흐름의 대부분을 털어가는 구조라 리츠 특유의 빠듯한 현금흐름 문제는 여전함
3. OLP의 이자 지급 능력과 유동성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의 2배 이상이라서 단기적으로 이자 못 줄 걱정은 딱히 없음
현금+현금성 자산, 신용한도까지 합치면 급한 불은 끌 수 있는 체력은 남아있음
유동부채 상환이나 단기 유동성 위기 상황에서도 은행 신용한도로 돌려막는 게 가능
배당으로 털리는 현금이 워낙 많아서 남는 돈이 거의 없다는 게 유일한 아킬레스건임
4. 만기 구조와 기타 부채 상황
부동산 담보대출(모기지)이 4억 달러가 넘고 신용한도는 아직 여유 있게 가용
대출 만기 구조가 분산돼 있어서 단기적으로 몰려있는 부채 상환 리스크는 낮음
부동산 가치 대비 LTV도 50~60% 수준이라 리츠 평균에서 조금 높은 편이지만 위험 신호까진 아님
다만 이자율이 전반적으로 올라가고 있어, 몇 년 뒤엔 지금보다 더 빡빡한 상황이 올 수 있음
진짜 중요한 이야기는 여기서 이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NEW경제배당 수익률 16.1% 너무 말도 안되는 고배당에는 다 이유가 있다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보통 고배당주의 세계에서 7~10%까지는 나름 이유가 있는 고배당이지만 16% 같은 배당은 거꾸로 어딘가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냥 고배당에 막 혹해서 아무거나 투자하면 안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좋은 사례가 하나 있어서 여러분께 판단의 기준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Monroe Capital Corp(MRCC) 소개MRCC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BDC로 연간 배당 수익률 16.1%선순위담보부 대출, 유니트런치, 후순위담보부 대출 등 온갖 대출 포트폴리오를 자기 입맛대로 섞어서 굴림선순위담보부 대출은 망하면 제일 먼저 돈 받아가는 구조라 그나마 안전한데 MRCC는 후순위, 무담보, 지분투자까지 가리지 않고 다 건드림주요 고객은 비상장 중소기업, 경기 안 좋을 때는 포트폴리오 전체가 휘청이기 딱 좋은 구조배당 역사는 2012년부터 길지만 코로나 터지고 나서 배당이 1주당 0.34달러에서 0.25달러로 확 줄었고 5년째 유지 중투자했던 기업이 잘되고건・30611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6.5~9.87% 신상 우선주 2개, 회사채 2개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새로운 우선주 3종과 회사채 각 2종, 합쳐서 5종이 2025년 7월에 상장되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얼마 전 다룬 SPME를 제외하고 가장 눈에 띄는 우선주 2종, 회사채 2종을 한 번에 소개해볼게요. 배당 수익률만 보면 눈이 번쩍 떠지지만 어쨌든 뭐하는 기업인지, 재무 상태가 어떤지는 알아야겠습니다.고건・10649
- 멤버십 전용NEW경제왜 고배당 일반주들 중에는 브라질 주식이 많을까?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핀비즈 같은 미국주식 스크리닝 사이트에서 배당수익률 순위만 봐도 미국 배당주 상위권에 브라질 기업들이 죄다 포진해 있다는 걸 한 번쯤 보셨을 겁니다. 페트로브라스, 발레, 이타우 유니방코, 브라데스코 같은 회사들이 기본 7~8%씩 쏘고 PBR은 15%까지 찍어주죠. 여기엔 남미 특유의 사연이 녹아 있습니다.고건・40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