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NEW
경제

혼돈의 투자시장 속, 부동산 투자의 이유

2일 전
김현규 공인중개사 프로필 사진
김현규 공인중개사
프로필 보기

투자의 변동성이 주는 의사결정 영향

최근 출범한 2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투자시장은 대혼돈에 빠졌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주식시장인 S&P500은 4월부터 4월 10일 사이,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에 따라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일주일 사이 지수가 무려 12% 하락했다가, 단 하루 만에 9.5%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한국 투자자들이 자주 활용하는 미국의 레버리지 지수 ETF는 지난 일주일간 -30%에서 -50%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하루 만에 30~50%가 상승하는 등 심각한 롤러코스터 장세가 이어졌습니다.

이런 급격한 시장 변동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패닉 상태'에 빠졌고, 그 결과 1~2주 사이에 -50%에 달하는 손실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주식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7일, 코스피 지수가 폭락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었고, 단 3일이 지난 10일에는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될 정도로
시장 분위기가 단기간에 극단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일반 투자자들은 패닉셀(panic sell), 패닉바이(panic buy)를 반복하며 심각한 손실을 겪고 있습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은 투자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흔히 저점에서 매수하지 못하고, 고점에서 매도하지 못하는 경험을 반복합니다.
이번 주 월요일, 시장이 -10~20% 하락하는 상황에서 많은 투자자들은 추가 하락을 우려해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했지만,
불과 4일만 기다렸다면 큰 반등이 있었고, 그 손실을 피할 수도 있었던 것입니다.

물론, 주식이나 가상화폐는 환금성과 변동성을 바탕으로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공격적인 자산입니다.
그러나 그만큼 ‘순간순간’의 판단이 중요하고, 일반 투자자가 이를 합리적으로 대응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부동산 투자가 결국 모든 투자의 1순위가 되는 이유

최근 젊은 층까지 투자와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많은 투자자와 자산가들이
결국 '부동산 투자'로 정착하는 이유는 변동성에 대한 실패 경험 때문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에 10년~20년 장기 투자하면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실제로 많은 한국 투자자들(서학개미)은 매년 투자 실패를 경험합니다.
이러한 실패 끝에 다시 부동산 투자로 돌아오는 이유는, 부동산 시장이 같은 자산의 가치 속에서도 전혀 다른 성향을 지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부동산 시장도 단기적으로는 등락을 반복하지만,
10년~20년의 장기적인 흐름으로 보면 결국 우상향했고, 높은 수익률을 실현했습니다.

또한 부동산은 변동성과 거래 빈도가 낮고, 세금 등 부대비용이 커서 자연스럽게 장기 보유가 유도됩니다.
주식이나 가상화폐처럼 급격한 가격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시장이 하락했을 때에도 직접 사용(거주) 또는 보유를 통해 위기를 견딜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실패한 투자자뿐 아니라, 성공적인 사업가나 고수익을 경험한 투자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궁극적으로 자산의 상당 부분을 부동산으로 전환합니다.

한국의 대기업들이 보유한 자산 중에서도 부동산 비중이 높은 이유는,
높은 수익률이 언제든지 반대 상황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위험 자산에서의 성공을 안전 자산으로 이전해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죠.


결론: 우상향 자산과 의사결정의 중요성

결국 투자의 핵심은 우상향하는 자산을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위험과 기회 속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며 목표 수익을 달성할 때까지 버티는 것입니다.

부동산 투자는 이러한 과정을 가장 잘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지난 수십 년간 그 효과가 검증된 투자 자산입니다.

오늘날에도 부동산이 ‘실패 확률을 낮추고’, ‘최선의 수익’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선호되는 투자 수단으로 여겨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댓글0
김현규 공인중개사
리빌딩부동산중개
김현규 공인중개사 프로필 사진
유저 프로필 이미지
0/ 500
댓글 아이콘필담이 없어요. 첫 필담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