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총이 나갈때 공이가 총알을 치는 힘만으로 총알이 나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총이 나갈 때 공이가 총알을 치는 힘만으로 나가지 않습니다. 공이를 치게 되면 충격으로 인해 총알 내부의 도화선이 타오르게 되고 이 도화선이 타며 내부 화약에 불을 붙여 총알의 추진력을 만들어냅니다. 즉, 공이의 충격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화약에 불을 붙이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1.08
0
0
볼록렌즈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렌즈에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있습니다.볼록렌즈는 빛을 모아주며 상을 가까이 맺히게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멀리 있는 물체가 잘 보이고 가까이 있는 물체가 안보일 경우 볼록렌즈로 교정을 합니다.오목렌즈는 빛을 퍼뜨리는 성질로 상을 멀리 맺히게 하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고 멀리 있는 물체가 안보일 경우 오목렌즈로 교정을 합니다.안경과 렌즈에 이러한 오목렌즈, 볼록렌즈가 들어가게 됩니다. 렌즈의 경우 얇은 막이지만 막 중앙 부분에 굴곡을 넣어 볼록렌즈, 오목렌즈 역할을 하게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8
0
0
건물은 왜 흔들리게 지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층 건물의 경우 외부 충격(바람, 지진, 충격 등)에 의해 흔들릴 수 있는데, 고유한 공명 진동수가 존재하고 이 공명 진동수에 의해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는데 있어 내진설계를 하여 흔들리게, 유연하게 건물을 짓습니다. 내진 설계의 원리는 공명 진동수를 없애는데 있습니다. 모든 물체에는 공명 주파수가 존재합니다. 공명 주파수는 물체의 재질, 모양, 크기 등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를 가장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체를 특정한 진동수를 주어 흔들 때, 떨림의 진폭이 가장 클 때가 공명주파수가 된것인데, 이 공명 주파수에 도달한 물체는 떨림의 진폭으로 인한 뒤틀림을 이기지 못하고 부숴집니다. 이러한 공명 주파수는 지진에 의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진 흔들림에 괜찮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공학적으로 건물을 유연하게 짓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1.08
0
0
자판기에 동전을 넣으면 가짜와 어떻게 구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판기의 동전을 넣게 되면 10, 50, 100, 500원 짜리 크기와 무게가 다름을 이용하여 판별합니다. 또한, 크기와 무게를 맞춘 가짜 동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동전의 성분 별로 전자기 유도 법칙으로 유도전류의 발생량을 측정해 판단하여 진짜 돈인지 가짜 돈인지 판단하죠.즉, 내부에 자석(코일일 경우 전자석)이 설치되어있고 동전이 자석을 지나며 유도 전류를 흘려보내는데, 이때 작동기에 문제가 있을 경우 유도전류의 발생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가짜 돈으로 판단(오작동)해 그대로 밖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동전)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동전)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1.08
0
0
달이 파괴되면 지구에 어떤 피해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파괴되어 파편이 지구로 추락해 동물, 생태계, 인간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파편이 떨어져 건물을 파괴하고 화재를 발생시키며 큰 파편이 바다에 떨어져 해일과 충격파를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진짜로 백두산이 폭발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의 연구 결과와 역사에 따르면 백두산은 1925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으며 대략 100년에 한번 씩(1세기에 한번) 분화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은 주기가 있는지에 대한 확신은 없습니다.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저 주기가 맞다면 2025~40년 사이에 분화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화산 폭발의 전조 증상은 지진이 발생하거나, 화산의 수온 변화, 화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성분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를 분석해 화산 폭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만약 백두산이 터진다면 한반도에 화산재가 날릴 것이며, 지진이 발생합니다. 또한, 화산에서 분출된 연기와 재가 하늘을 뒤덮어 햇빛을 차단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화산 재와 연기로 뒤덮인 하늘로 인해 대기오렴, 생태계 파괴, 항공 운항 중단, 산성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비가 오거나 추우면 무릎이 시린데 왜그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의 변화때문입니다. 비가 오기전에는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기압의 변화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교감신경을 활성화 시킵니다.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신경말단에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호르몬이 관절 주위 신경을 자극하며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몸이 욱신 쑤시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6
0
0
태양의 온도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표면의 온도는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분석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별, 태양, 행성에서 나오는 자체의 빛의 경우는 흑체 복사에 의한 빛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흑체 복사란 간단히 온도에 따른 빛의 파장 분포입니다. 즉, 모든 물체는 온도를 가지고 있고, 그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빛이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분석하여 태양의 표면 온도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6
0
0
겨울에는 왜 벌레가 잘 생기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벌레도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겨울의 경우 춥고 건조하기 때문에 벌레가 활동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죠. 그래서 동면에 들어가거나 따뜻한 곳에 몸을 숨겨 겨울을 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6
0
0
led전구는 어떻게 빛을 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ED 등은 이전에 사용했던 백열구, 형광등 보다 훨씬 효율이 좋은 발광체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효율은 소비전력이 낮으며 수명이 길다는 의미입니다. LED가 효율이 좋은 이유는 LED에 흐르는 전류가 바로 빛으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백열구의 경우 필라멘트(저항체)가 열을 받아 발광하는 방식이며, 형광등의 경우 원자와 전자의 충돌 후 발생하는 자외선이 형광 물질을 들뜨게 하여 빛을 내는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 LED는 내부 반도체에서 전류의 흐름 자체로 인해 에너지가 변화하며 빛을 발하죠.
학문 /
전기·전자
23.01.06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