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중력을 에너지로 사용할 순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부터 현재까지 중력을 에너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엘레베이터도 중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이며, 수력 발전, 물레방아도 중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재밌게 즐기는 자이로드롭, 바이킹, 번지점프, 롤로코스터 등도 중력을 이용한 놀이기구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우리나라에는 왜 원유가 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도 작은 양이지만 석유를 보유하고 있어서 산유국으로 분류됩니다.우리나라 울산광역시에서 동해바다로 58km정도 나가면 시추를 통해 원유를 캐는 원유생산기지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6
0
0
무지개의 색은 7가지 색으로 아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밀하게 분석하면 거의 무한가지 색입니다. 색은 파장에 따라 분류되는데 사람의 눈으로 분간되는 색의 종류 또한 무수히 많습니다. 무지개는 가시광선 빛의 색으로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파장별로 색이 구분될 수 있습니다. 즉, 파장은 수치적으로 무한히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빨간색과 보라색 사이를 무한한 색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어머니 본가의 옥상 난간에 녹이 많이 발생하여 도색해야 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텔레스도 오랜 기간 공기중에 노출되면 녹이슬 수 있습니다. 옥상에 둔 스텐레스라면 비를 맞기 때문에 실내에 있는 스텔레스보다 더욱 빨리 녹이 슬 수 있죠. 왜냐하면 비에는 순수한 물이 아닌 산성비일 수 있으며 다른 성분이 녹아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6
0
0
석유나 천연가스를 직접 인위적으로 만들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석유를 만들기 위해 유기물을 매장하거나 인위적으로 굉장히 오랜기간 고온과 고압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면서 드는 비용에 비해 유의미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유기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위적인 환경이 아니더라도 자연적으로 만들기위해 유기물을 매장시키려면 굉장히 많은 유기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질문자님 질문에 대한 답으로는 가능하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6
0
0
단칼에 목을 베는게 실제로 가능한 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능합니다. 단칼에 대나무도 여러겹 베는 것이 가능하고 칼날을 잘갈고 검의 숙련도만 높으면 가능한 일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블루투스는 일반 통신과 방식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는 2402~248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총 79개의 채널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주파를 저전력 전파로 발생시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때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전송하는데, 패턴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와 간섭을 최소화 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하게 되는 것이죠.일반 와이파이와 달리 블루투스의 신호의 특성상 약한 신호를 강하게 방출시킬수는 없지만 거리를 가까이해야만 연결이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6
0
0
정전기를 에너지로 저장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마찰을 이용하여 정전기를 모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미 발명을 하였고 기술을 계속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기술이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입니다.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를 에너지로 충전시키는 기술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1.16
0
0
안개 낀날 날씨가 좋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왜 혀 뒤쪽은 하얀색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죽어 백태가 되어 하얗게 될 수 있습니다. 혀의 뒷부분은 다른 부위와 접촉이 잘 안되며 칫솔질도 안할 수 있는 부위이므로 하얗게 백태가 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백태는 입안의 세균이나 입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칫솔질 시 어느정도 백태를 제거해주는게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