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2.11.16

안개 낀날 날씨가 좋은 이유는?

오늘 아침에 오랜만에 엄청난 안개가 꼈습니다

안갯길에 운전을 하면서 문득 오늘은 날씨가 맑겠네? 하고 자연스레 생각하게 되는데 단순히 경험적 오류인지 실제로 안개가 맑은날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가 낀다는 것은 수증기가 낮은 곳에서 응결이 되기에 구름이나 빗방울이 되지 않아 복사냉각이라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 현상은 맑은날 자주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6

    안개는 일교차가 심할때 자주 발생 합니다.

    한낮 높은온도로 지표에서 수증기가 증발하여 대기에 섞여 있고,

    해가 떨어지면서 지표가 급속히 냉각되면서 지표에 가까운 대기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그 대기에 섞여 있던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발생 합니다.

    만약 지표가까이 구름이 있다면 해가 떨어지고 지표에서 복사하여 하늘로 올라가는 열이 구름에의해 차단되어 보온효과가 발생되고 지표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것을 지연시킬수 있어 안개 발생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하여 지표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은 복사여 하늘로 올라가는 열을 차단하는 어떤것도 없다는것으로 하늘에 구름이 없는 맑은 날씨란 증거 입니다.

    많은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개가 낀 날 날씨가 좋은 이유는 아침안개가 대부분 복사냉각 때문입니다.

    안개는 수증기가 낮은 곳에서 응결된 것입니다.

    응결의 원인은 복사냉각, 즉 열복사에 의해 물체가 열을 잃기 때문입니다.

    열복사가 일어나려면 안개가 낀 전/후의 날에 해가 떠야하므로, 날씨가 좋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