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미세먼지 눈으로 못보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세먼지의 경우 크기가 작지만 이러한 미세먼지 농도가 짙은 날에는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구름이나 안개처럼 뿌옇게 보일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크기가 작아 눈으로 보긴 어렵지만, 미세먼지도 크기가 있는 입자이기 때문에 빛을 반사시키거나 산란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세먼지를 통과한 햇빛이 산란되어 우리눈에 들어와 뿌옇게 보이는 것이지요. 아래는 미세먼지 크기입미다.황사의 경우 1~1000㎛크기를 갖는 경우 황사로 분류합니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미세먼지의 경우 10㎛ 이하의 크기를 갖는 먼지입니다. (=PM10)초미세먼지의 경우 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먼지입니다. (=PM2.5)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무선충전 공간 사이에 사람 몸이 들어가도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자기장이나 전자기파가 발생하긴하지만 인체에 큰 영향을 줄만한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빛)가 발생되진 않습니다. 만약 인체에 해로운 정도라면 출시가 안될뿐더러 사용하는 사람도 없게 됩니다!<무선충전기원리>코일과 자석의 상호작용을 이해를 하시면 무선충전기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코일이 있고 외부에 자석이 있을 때 자석을 코일 주변으로 왔다 갔다 움직여주면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므로 코일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는데요. 무선 충전기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고있습니다. 대신 무선 충전기는 자석이 아닌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죠. 전류가 흐르는 코일은 자석 처럼 행동합니다. 무선 충전기의 전류를 흘려보냈다 멈췄다를 반복(교류 전류)하면 자석을 움직이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에 무선 충전기 근처 휴대폰에 있는 코일을 반응 시키고 휴대폰 속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깁니다. 이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1.11
0
0
열역학 제2 법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열역학 제 2법칙은 엔트로피 증가 법칙입니다.고립된 계(외부와 어떠한 교환도 없는 공간, 열교환이나 에너지 교환, 입자의 교환이 없음)에서의 총 엔트로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는 법칙입니다.여기서 엔트로피는 특정 상태를 의미하는 물리량입니다. 흔히 무질서도라고 말하죠. 고립된 계 내의 입자들은 물리법칙을 따라 움직이긴하지만 입자간 상호작용이 무시되면 무작위로 움직여 공간에 분포하게됩니다. 이러한 상태가 무질서한 상태이죠. 어찌보면 당연해보이는 현상입니다. 만약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상태라면 입자들이 공간을 떠도는 것이 아닌 한곳에 가지런히 모여 똑같이 움직이는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부자연스러우며 거의 있을 수 없죠. 또한 아주 쉬운 예시로 책상을 정리해두었다가 며칠 뒤 보면 어질러진 광경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하다 보면 책을 여기저기 둘 수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경우가 무질서도가 증가한 것이고 엔트로피가 증가한 경우입니다.
학문 /
물리
22.11.11
0
0
머리 말고도 다른부위에 탈모가 생기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머리 말고도 다른 부분에 대해 탈모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털이 아예 안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유전적이며 후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학문 /
화학
22.11.11
0
0
미래에는 양자역학이 중요한 학문이라고 하는데 어떤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 더욱 작은 입자 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을 때 양자역학을 사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이해를 돕기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 현상에 대해 언급해보겠습니다. 흔히 잘 알고 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는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할 수 있죠. 즉, 우리 주변에서 눈으로 보이는 대부분에 현상은 고전역학을 사용하여 현상을 기술합니다. 다른 예시로 무거운 짐을 들기 위해선 물체의 중력 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 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돌고있다를 기술하기위해서는 고전역학(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양자역학은 원자 세계를 기술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여러 곳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에 있어 미시세계를 연구하는데 사용되며, 반도체, 초전도체, 디스플레이, 베터리 등에 기본이 됩니다. 또한, 양자 컴퓨팅, mri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우리가 겪거나 경험하기 힘들고 관찰하기 힘든 원자 단위의 미시 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볼 순 없지만 지금도 신체 내(우리 몸에 세포 내에 원자, 분자)에서나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양자역학은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포괄적이라 위와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1
0
0
우리나라 인구가 5천만인데 시기별 예측 결과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통계청의 예측 결과를 따르면, 현재 출산율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들 것입니다. 또한, 2070년에는 3700만명 대로 될 것으로 예측합니다.하지만, 출산율은 사회, 경제 상황이나 가치관 등 다양한 변수로 인에 언제든 변할수 있기 때문에 위 결과에 정확히 따르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1
0
0
자고있을때 듣는 말들은 뇌가 의식을 하나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자고있을 때에도 청각이나 후각 등이 작용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소리를 듣거나 냄새를 맡을 경우 생각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생각이 꿈에도 반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뇌에 저장도 가능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1
0
0
왜 인중을 내밀면 코냄새를 느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중을 내밀면 콧구멍의 냄새라기보다 인중의 냄새입니다. 인중에는 유분이나 땀 등 노폐물이 쌓일 수 있는 부위이고 이 부위를 코에 가져다 대면 냄새가 날 경우도 있습니다. 코의 냄새는 항상 코의 점막에 노출되어있어 둔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냄새를 맡을 순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1
0
0
소름끼칠때 왜 닭살이 돋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서운 것을 보거나 무서운 생각을 하게되면 두려움과 공포가 뇌를 자극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극으로 인해 교감신경을 작용하게 되는데,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피부 속 작은 근육인 입모근이 수축하면서 피부가 닭살 모양처럼 변하고 모근에 자란 털이 곤두서게 되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1
0
0
수돗물을 틀면 물이 하얀색으로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기체(공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물이 관을 통해 수도꼭지로 나오며 분사되어 갈라지면서 기체와 섞일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약간의 거품느낌을 받으며 하얗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와 섞인 것이니 크게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물을 받게되면 다시 공기는 사라지고 물만 남아 투명하게 되죠.
학문 /
토목공학
22.11.11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