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귀를 움직일 수 있다는 건 진화가 덜 됐다는 낭설이 있던데 말 그대로 근거 없는 낭설일 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귀가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이개근이라는 근육 때문이며 우리가 소리를 자세히 들으려할 때 쫑긋 거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과거에는 사냥을 했기 때문에 소리를 통해 사냥감을 포착하려고 필요하였지만 현재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화가 덜 됐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하지만 이러한 근육이 완전히 소멸될지 아니면 현재의 상태로 유지될지는 먼 미래에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낭설이라 판단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2
0
0
인공 강우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강우는 흔히 구름 씨앗, 즉 빙결핵이 될 만한 화학물질을 대기 중에 살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켜 비를 내리게하는 원리입니다. 이를 맞는다고해서 피해를 받지는 않지만 만약 공기중에 미세먼지나 나쁜 가스가 있을경우 비와 함께 내려오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피하셔야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공강우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2
0
0
우리나라와 가장 멀리있는 대척점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대척점에 위치한 곳은 남아메리카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앞바다입니다. 시차는 12시간이 차이가 나며, 계절은 우리나라와 정반대입니다. 계절이 반대인 이유는 우리는 북반구이고 대척점은 남반구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스님들 화장하면 사리나오잖아요 일반인들도 화장하면 사리가 나오나요? 그리고 사리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리의 경우 뼈로 해석되는 것도 있고, 결석이라고 해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는 스님뿐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서도 나올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지구는 처음에 아주 불타는 행성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주 초기에는 가스와 물질들이 중력에 의해 모이는 단계이므로 뜨겁지 않습니다. 어느정도 모아지며 중력에 의한 수축이 시작되면서 핵이 형성되고 뜨거워지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주변 물질을 끌어당겨 더욱 커지며 더 뜨거워졌죠. 그러면서 서서히 식어 지구가 탄생하게됩니다. 물과 산소에 대해서는 지구의 생성초기에 많은 양이 분포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까지 아주 많은 양의 물과 산소가 남아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이 꽃의 이름과 번식법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국화과의 꽃 같네요, 국화나 쑥부쟁이 같습니다.국화과의 경우 씨앗을 통해 번식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2
0
0
오늘 제가 보는 달이 초승달이라면 같은 나라 안에서는 모두 초승달로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지구가 자전하며 달이 우리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든 거의 비슷한 달의 위상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구가 자전하는동안 달도 공전하기 때문에 위상의 차이는 조금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의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초승달일 경우 달의 공전 속도보다 우리의 자전속도가 더 빨라 다른나라에서도 초승달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벌레들이 빛으로 날아오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벌레들은 밝은 곳이면 달려드는데, 불에도 벌레들이 달려들어 불의 열기에 죽기도합니다. 그래서 열을 감지하진 못하죠. 또한 벌레들은 눈이 있기 때문에 빛을 보기도하며 인지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빛으로 달려들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2
0
0
용암을 인위적으로 바다에 흘려보내서 땅을 확장시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야기라고 봅니다. 용암이 흐르는 길을 만들고 땅속에 있는 마그마를 폭발시켜 마그마가 바다까지 흐르게끔 만들어 땅을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그마의 양도 많이 필요할 뿐더러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일이라 생각이 됩니다. 그래도 이를 잘 컨트롤 할 수 있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통신관련 2G~5G,6G까지 2030년까지란 기사에서 봤는데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TE, 5G, 6G 는 인터넷 속도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LTE는 초당 1Gbps 초당 1G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5G는 20Gbps(giga bits per second) 로 초당 2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1Tbps 로 초당 1Tb(=100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5G에 비해 50배나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2.11.02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