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래에 삼켜지면 살아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에 삼켜지면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고래는 플랑크톤과 작은 새우, 물고기 등을 먹고 살아갑니다. 만약 고래가 사람이나 다른 물체를 먹을 경우 불편함을 느끼고 다시 뱉어낸다고 합니다. 즉, 운이 좋아 익사하지 않거나 타박상을 입지 않는다면 살아남을 수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10.31
0
0
싱크홀은 어떻게 생기는 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싱크홀은 땅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지반이 약해져 생깁니다. 주로 지하에 가득차있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빈공간을 만드는데 이로인해 싱크홀이 생깁니다.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지하수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을 확실히 구분하는 방법이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31
0
0
간단한 기초 회로인데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압을 단순히 더하시면 됩니다. 건전지 하나가 2V라고 치면, 총 전압은 +2-2+2=2V가 됩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31
0
0
푸른나뭇잎들이 나무종류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변하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31
0
0
정전기가 엄청나게 높은 볼트로 일어난다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이 우리에게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류의 양은 아주 적기 때문에 안전한 것이죠. 우리에게 위험한 것은 전류입니다. 우리 인체가 손상을 받는 전류는 20~50mA정도입니다. 높은 전압이 걸려도, 몸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류는 아주 작게 흐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31
0
0
왜 모든 타이어의 색깔은 검은 것일까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타이어에는 카본블랙(탄소 화합물)이라는 첨가물이 들어갑니다. 즉, 탄소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흑색을 띠는 이유입니다. 타이어에 탄소 화합물을 첨가하는 이유는 탄소는 내열성(열에 강함), 강성(강도 높음), 내마모성(마모가 잘 안됨) 등 기능을 향상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31
0
0
시간이 멈추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시간의 정의에 따라 스톱되어 있는 상태입니다.1초는 세슘-133 원자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시간입니다. 빛을 이용하여 시간 정의도 가능합니다. 특정한 길이를 두고 빛이 특정 수 왕복하는 시간을 정의할수도 있습니다.그런데, 시간이 멈췄다는 것은 정의에 따라 세슘의 진동이 없거나 빛이 움직이지 않아야하므로 모든것이 정지한 한 순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사진 처럼요.
학문 /
생물·생명
22.10.31
0
0
왜 일본에는 과학자 노벨상이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본은 기초과학 강국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현재는 기초과학이 강하다 생각하며 좋은 논문도 많이 있습니다. 앞으로 꾸준한 연구를 통해 노벨상도 수상할 것이라고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31
0
0
물속에서 물질이 굴절되서 보이는 건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른 액체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굴절이 되는 이유는 물, 공기 등을 매질이라고 하는데, 매질에서 빛의 속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매질과 매질 사이를 비스듬하게 통과하는 빛은 매질에서의 속력 차에 의해 휘는 것이죠.빛은 전자기파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입니다. 이러한 전자기파(빛)는 공기중에 있는 분자와 상호작용을 하며 진행해나갑니다. 물의 경우에는 공기에서 보다 분자가 더 조밀하게 있기 때문에 빛과 물 분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더 많이 일어나 느리게 지나갑니다.만약 공기중에서 물로 비스듬히 진행해나가는 빛을 생각했을 때 먼저 물에 닿는 부분이 있으며 이부분의 속력은 느려집니다. 그런데 아직 물에 닿지 않은 부분은 여전히 공기중이라 빠르죠. 그래서 굴절(휘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31
0
0
보조 배터리는 오래 쓰면 그 성능이 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쉽게도 배터리에는 수명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오래쓰기 위해서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시며, 보조 배터리가 20퍼정도 남았을 때 충전하여 사용하시면 오래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31
0
0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