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압력을 매우 낮추면 물질을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압력을 낮춘다는 의미는 입자, 원자나 분자의 수를 줄이거나 입자, 원자의 운동에너지를 줄이는 것입니다. 즉, 입자의 운동에너지를 낮추면 전자나 원자핵의 운동에너지도 낮아질 수 있으며, 전자는 원자핵의 전기력에 끌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플라즈마 상태는 되지 않죠.
학문 /
화학
22.10.22
0
0
진짜 몇억광년에있는걸 사진으로 보여준다는게 저거 다 포샵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사에서 공개한 사진들의 배율은 다 맞는 배율입니다. 망원경은 멀리있는 물체를 크게 확대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망원경이죠. 하지만, 몽환적인 색감, 신비로운 색감은 눈으로 보았을 때와 다릅니다. 즉, 가시광선의 빛이 아닌 적외선이나 자외선의 빛을 우리가 볼 수 있게끔 가시광선으로 대치해주면서 신비로움이나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부분은 어느정도 보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나침반이 방향을 가리키는 원리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거대한 자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북극점과 남극점을 끝으로 지구 자기장이 형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나침반 또한 자석입니다. N극과 S극이 있죠. N극이 가르키는 방향은 북극점을 가르키는방향으로 북쪽이며, S극을 가르키는 방향은 남극점을 향하기 때문에 남쪽임을 알 수 있죠. 이러부터 북남선을 찾아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입니다.
학문 /
물리
22.10.22
0
0
화성이나 다른행성에서도 외계생명체가 존재할가능성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몇프로일지도 감도 안옵니다. 태양계 내에 지구 외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은 감히 말씀드리자면 1%이하일 듯 합니다.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손을많이쓰면지문많이닳나요 일많이하거나고생많이한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일을 열심히하거나 손을 많이 쓰는 경우에 지속적인 쓸림으로 지문이 사라질 수 있지만, 그러한 행동을 멈추고 시간이 지나게 되면 지문은 다시 재생될 수있습니다. 지문은 피부 가장 바깥쪽에도 있지만, 안쪽 세포에서 부터 자라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안쪽 세포가 다시 자라 재생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레이저 무기가 빗나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충돌하지 않는 이상 에너지는 계속 보존됩니다. 하지만 공기중에 기체 등이 존재하며 반응하며 날아가기 때문에 에너지의 손실이 조금씩 있으며, 우주의 공간으로 날아가 어떤 물질과 부딪히면서 흡수와 반사가 일어나고 또 반사된 빛이 다른 물체와 충돌하며 흡수와 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반복하며 서서히 소멸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지구에서 산소가 몇초동안 사라진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산소없이 3분정도를 살 수 있으며, 대부분의 생물들도 1~3분 정도 살 수 있습니다. 물론 이보다 더 오래 버티는 생물도 존재합니다.만약 3분이상 산소가 사라지면 사람은 대부분 죽습니다. 산소가 부족하면 뇌에 문제가 생기고 뇌사가 일어납니다. 그래서 어지럼증, 두통을 느끼며 서서히 기억력 저하, 환각 증세 등이 나타나며 죽어가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지구 대기의 질소는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소는 우주에서 6번째로 많은 원소이며 지구의 생성초기에 질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현재까지 많이 잔존하고 있습니다. 또한, 질소는 반응성이 낮고 생명 활동에 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존되며 많이 남아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파리와 모기는 왜 창문을 열어놓으면 들어올줄만 알았지 나갈 줄은 모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리와 모기가 들어올 때 따뜻한 곳과 습한 곳, 그리고 냄새가 나는 곳을 찾아 들어오게 됩니다. 방안은 밖보다 이러한 조건들이 잘 부합하는 장소죠. 그래서 집으로 한번 들어오면 집안보다 바깥이 매력이 없기 때문에 잘 나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연적으로 나갈수도 있으며, 다른 목표가 있을 경우 나갈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2
0
0
만약 내가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면 어떤일일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에 빠진다면 살아나올 수 없으며 갈기갈기 찢겨 죽을 것입니다. 블랙홀에 빠지는 것은 마치 싱크대에 있는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몸이 온전하게 블랙홀로 떨어지는것이 아닌 좌우로도 짓눌리는 힘이 존재하여 몸에 압력이 느껴지며, 블랙홀과 가까운 신체 부위가 블랙홀과 멀리 있는 신체 부위보다 더 빨리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몸이 위아래로 잡아 당겨지는 힘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마치 싱크대로 빨려 들어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아래로 몸은 찢기고, 사방에서 압력이 가해져 몸을 짓누르는 느낌이 들것입니다. 물론 식량도 갈기갈기 찢겨 사라지게 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