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에어컨을사용할때생기는물이나오는곳이름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에서 제습작용을 하여 공기중 수증기량, 습도를 낮춰 물을 빼내는 호스를 에어컨 호스, 배수 호스라고 부릅니다.
학문 /
화학
22.10.21
0
0
불꽃 산화 반응과 라이터의 관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이터는 불꽃 색이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온도에 따라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이죠.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빛의 색도 연속적이고 온도의 색도 연속적이라 대략적인 영역별로 구분을 해보겠습니다. 빨강, 주황색 : 600~800℃노란색 : 800~1300℃백색 : 1300~1500℃파란 : 1500℃~ 이렇게 색깔을 띠는 이유는 불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그리고,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연소하면서 방출하는 빛이 다를 수 있으며, 불의 색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예시로 금속의 불꽃색이 있습니다. 리튬-빨간색, 나트륨-노란색, 칼륨-보라색, 구리-청록색을 띱니다.
학문 /
화학
22.10.21
0
0
휘발유와 경유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휘발유는 가솔린이라고도 하며 경유인 디젤보다 적은 힘을 얻지만, 소음이나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로 소형차와 승용차에 휘발유를 사용하죠.그리고 경유는 휘발유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큰 대형차, SUV에 사용되며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소음이나 진동은 휘발유보다 큰 편입니다.
학문 /
화학
22.10.21
0
0
온난화 정점이 1.5도 남았다는데 그후에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래를 예측하긴 힘들지만 1.5도 더 상승 안할 수도 있으며, 상승할 경우 이상기후, 이상 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도가 1도 바뀌 더라도 전지구적으로 굉장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2.10.21
0
0
바퀴벌레는 어디에서 번식하고 서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는 어둡고 습한곳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바퀴벌레는 하수구나 배수구에 서식하며 번성하고 있습니다. 굉장히 많이 존재합니다... 집에 가끔씩 출몰하는 것도 전부 배수관을 타고 올라왔을 가능성이 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젖지 않는 물이 개발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젖지않는 물은 존재하며 현재도 있습니다.젖지 않은 물은 물이라 불리지만 사실 물이 아닙니다. 불소 계열의 화합물로 플루오르화 케톤(CF3CF2(O)CF(CF3)2 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물건이나 손을 넣어도 젖지 않는 것이죠. 또한, 플루오르화 케톤은 청정소화약제로 쓰이며 불을 끄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1
0
0
바닷물의 밀물썰물이 달의 인력으로 생긴다고 아는데요. 어떤관계가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를 이해하시려면 만유인력을 이해하시면 됩니다.밀물과 썰물은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데 이 힘이 만유인력이죠. 달과 태양은 거대한 질량체이기 때문에 만유인력을 행사합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스마트폰이 터치로 작동하는것은 무슨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정전기를 이용한 원리입니다.우리 몸의 피부에는 수분 유분등이 존재하며, 이곳에는 미세하게 전자(-)가 분포합니다. 즉, 정전기가 분포하고있죠. 그래서 터치 스크린에 피부를 닿게해 터치하면 정전기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 작동을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1
0
0
비행기가 하늘을 날수 있는 원리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의 추진속도가 빠를수록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압력차)이 강해지고 무거운 수하물을 싣고도 뜰 수 있는 이유입니다. 이런 원리로 날아가는 비행체는 흔히 우리가 타고다니는 비행기가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 엔진의 가스를 분화해 비행체 밖으로 내뱉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런 원리로 비행하는 비행체는 드론, 헬리콥터, 로켓, 미사일등이 있습니다.비행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강한 양력과 추진력이 필요합니다. 강한 양력을 만드는 방법은 날개의 곡선부분의 곡률을 더 크게 해주면 되며, 엔진의 파워를 높이면 됩니다.참고로 새는 두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하늘을 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라디오 주파수인 AM과 FM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 87MHz~108MHz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진동수가 높고, 에너지가 높아 물체나 장애물을 만나면 부딪혀 산란되는 경향이 있어 산이나 지형에서 전달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음질이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AM(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 500kHz~1600KHz로 FM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FM보다 진동수가 낮고 에너지가 낮아 음질이 좋지 않지만, 파장이 길어 장애물이나 산, 지형 등을 잘 지나기 때문에 멀리까지 전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