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양의 흑점과 태양의 활동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흑점은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이 나타납니다. 태양 표면인 광구는 쌀알무늬를 띱니다. 그런데 태양 활동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과 낮아지는 부분이 극명해지면서 흑점이 나타납니다. 흑점은 태양의 표면 온도인 6000도 보다 작은 4000도 정도가 됩니다.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자율주행차 단계 중 완전 자동화는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00%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해 2027년까지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둔 회사도 있습니다. 아마 회사가 목표를 달성하게 되면 2030년안에 완전한 자율주행자동차가 출시될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1
0
0
인공지능AI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의 경우 잘 사용하면 의미있는 예측, 분류 등을 할 수 있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사용할 경우 좋지 못하고 이상한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결과를 가지고 인공지능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잘못된 결과로 속일 위험도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1
0
0
별은 1초에 79억개씩 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1초에 몇개의 별이 탄생하고 몇개의 별이 죽을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주는 광활하고 우리가 관측하지 못한 별도 있으며 관측할 수 있는 별도 있기 때문입니다. 별은 죽음과 탄생이 있긴하지만 정확하게 말씀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골전도이어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골전도 이어폰은 진동을 통해 소리를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이어폰과 원리는 거의 비슷하지만 뼈를 진동시켜 소리를 듣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이어폰은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만들어 내죠.다른 이어폰에 해당하는 이야기지만 골전도 이어폰도 소리를 크게하여 듣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골전도 이어폰은 내이를 자극할 수 있는데, 평소 멀미에 민감한 사람이 골전도 이어폰을 사용한다면 두통이나 멀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다른 이어폰에 비해 음질이 좋지 않다는 단점도 있으며,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도 있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1
0
0
물줄기는 내려올수록 가늘어지던데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도꼭지까지는 물을 감싸는 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밀하게 물이 내려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도꼭지를 떠나는 순간 물을 감싸는 관은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물이 옆으로 조금 넓게 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랫부분의 물이 더 빨리 떨어지는데, 이때 물의 속력이 빨라지면서 물의 흐름이 뚝뚝 끊길 수 있으며 빠른 유속으로 면적이 줄어(베르누이 원리) 조금은 가늘어지거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장실이나 싱크대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가늘어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기 힘들며 거의 일정한 두께를 이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1
0
0
구름의 생성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수증기량이 많은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수증기는 바다의 물이나 강물 호수의 물이 증발하며 공기중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구름의 이동하는 속도는 바람의 영향을 받습니다. 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 것이죠. 구름이 소멸할 때에는 온도가 높아지거나 고기압을 만나 하강기류를 받아 지상으로 내려오면 구름의 생성과 반대 과정을 거치며 소멸하게 됩니다. 온도가 높아지거나 하강하게 되면 물이 다시 수증기가 되어 흩어져 소멸하게 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화산과 지진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화산이 폭발할 경우 지진이 동반되며,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꼭 화산이 동반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화산 폭발의 경우에만 지진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습니다.화산은 판과 판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판이 다른 판과 충돌해 밀도가 낮은판이 수렴하며 마찰을 일으켜 지진을 발생시키고, 수렴되는 부분에 의해 지층 아래에 있던 마그마가 분출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대륙이동설에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는 중심 부분부터 내핵, 외핵, 멘틀,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핵부분은 굉장히 뜨거우며 지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차가워지기 때문에 멘틀에서는 대류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대류 현상에 의해 멘틀의 경계부가 생기게됩니다. 그래서 멘틀은 여러 조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대류현상은 멘틀을 순환시키므로 멘틀과 지층이 닿아있는 부분에서 움직임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층은 움직이는 것이죠. 이렇게, 움직이는 부분 부분을 나눈것을 판이라고 합니다. 판의 종류는 유라시아판,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등 크게 10개의 판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판과 판은 멘틀의 대류현상에의해 움직입니다. 그리고 판과 판이 만나는 부분이 있으며, 판과 판이 멀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륙과 대륙이 멀어지는 부분이 존재하기도 하며 대륙과 대륙이 가까워지는 부분도 존재하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태양도 언젠가는 식고 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 이라고 밝혀져 있습니다. 54억년 정도 남았다고 보시면 됩니다.<참고>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