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다물고기에는 기생충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물고기에도 기생충이 있습니다. 그래서 물고기가 기생충에 감염 되었는지 확인하고 회를 떠야하며, 익혀먹을 때는 잘 익혀먹어야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분자간 결합력은 얼마정도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분자간 인력은 수소결합에 의한 전기력으로 대략 4pN(4x10^(-12) N)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거미는 왜 거미줄에 걸리지 않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줄은 점액 방울에 의해 거미줄을 끈끈하게 만들어 줍니다. 거미는 이 점액 방울이 있는 부분이나 끈끈한 부분을 알고 있어 이부분을 피해다니기 때문에 걸리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태양에 얼마나 가까이 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1AU)의 95퍼 정도, 즉 0.95AU까지 갈 수 없습니다. 태양을 마주보고 0.95AU 정도까지만 가도 우주복의 내부 온도가 50도를 넘게됩니다. 그래서 아주 조금도 근접하기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태양에서는 열만 방출 되는 것이 아닌 우주선(방사선 물질 포함)도 방출 되기 때문에 살아 돌아와도 산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우주는 왜 더워지지 않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라는 개념을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온도라는것은 정확한 개념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 이 분자들이 얼마나 활발하게 움직이는지가 온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만약 입자 한 개가 멈춰있으면 이는 온도가 가장 낮은 상태(절대 0도=-273 도씨)입니다. 입자 한개가 미친듯이 움직이고 있으면 온도가 높은 상태이죠.그런데, 우주에는 공기(기체), 즉 입자나 분자가 거의 없습니다. 아주 드물게 존재하죠. 이 입자와 분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어도 굉장히 희박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운동이 활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주의 온도가 낮은(2.7K ~ -270.3 도씨)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TV 혹은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면 전력 소비가 증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화면의 밝기와 스피커의 볼륨을 높이게 되면 전력 소모가 커집니다. 이유는 화면 이 밝아진다는것은 빛의 세기를 높이는 것이고 이는 전류의 세기를 높이는 것과 같습니다. 즉, 전력이 올라가죠. 또한 소리를 높인다는것도 소리 앰프의 진동을 크게 하여 소리를 높이는 것인데, 이 진동이 커진다는 것은 운동성을 증가시키는것으로 전류량은 높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즉, 전력이 높아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건축물을 지을 때 수직 가준을 어떻게 설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직 기준은 물이나 추를 이용하면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물(수면)은 중력에 의해 언제나 지면과 나란히 하려고 합니다. 이 평평함을 기준으로 수직의 기준을 잡을 수 있죠. 또한 무거운 추를 실로 연결하면 지면과 수직하게 정렬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수직의 기준을 잡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이집트 피라미드 등 거대한 건축물의 건축 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라미드를 쌓아 올리는 방법은 모래, 흙을 쌓아 경사로를 만들어 경사로를 통해 피라미드를 이루는 거대한 돌을 운반하여 쌓아 올리는 건축 방식을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자석의 성질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의 자기력(자기장)을 만드는 것은 크게 2개가 있습니다.첫번째로 전자, 원자핵의 스핀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두번째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자기력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보통 자석의 경우는 스핀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입니다. 물질 중에는 자화(스핀이 정렬하여 N극 S극을 띠는 것)가 영구적으로 돼있는 물질이 존재합니다. 이를 자석이라고 하죠. 그리고 자석이 될 수 있는 물질에 따라 자기력의 강도가 다르죠. 네이디뮴 자석의 경우 가장 강한 자기력을 갖는 자석입니다. 이 자석의 N극 S극이 붙어있으면 사람의 손으로 떼어내기 힘들죠. 그리고 다칠 위험도 있습니다.네오디뮴을 뛰어넘을 정도의 자기력을 만들수도있는데, 물질을 사용하기보다 전류를 강하게 흘려보내주어 강한 전자석을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류의 흐름은 자기장을 만들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6
0
0
리모콘 전파 1회 보낼 시 소비전력이 얼만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버튼 1회 시 소비전력은 잘 모르겠으며, 베터리 2개 넣은 리모컨은 보통 1년정도 사용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