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철새들은 어떻게 자기가 가야할 방향을 알고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철새를 연구하시는 분들이 철새별로 이동하는 경로와 지역이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한, 철새에게는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 단백질이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매직아이의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쪽 눈의 초점을 달리하여 그림(상, 물체)을 겹치게 만들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원리입니다. 우리 눈은 왼쪽 오른쪽 2개가 있는데요. 왼쪽 오른쪽 눈의 초점을 동일하게 맞춰 물체를 봅니다. 그리고 양쪽눈이 있기 때문에 원근감(거리감)인 입체감이 존재하죠. 매직아이는 그냥 눈으로 보면 알수없는 그림이지만, 그림을 조합하면 하나의 그림이 완성됩니다. 이 그림을 조합할 때 그림보다 초점을 뒤로 두게 되면 그림이 2장으로 보일것이고 일부는 겹쳐져 보입니다. 그리고 이 겹쳐진 부분을 잘 맞추면 숨겨진 그림이 보이는것이죠. 그리고 양쪽 눈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근감에 의해 입체감도 표현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생 알로에를 잘랐더니 붉은피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알로에에 포함된 비타민 성분, 미네랄 성분 등으로 산화가 일어났을 수 있으며, 변색된것으로 보입니다. 저것을 가지고 무언가를 하기보다 잘 분리하여 버리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0
0
별이 뜨거워질수록 별빛 속 흡수선이 적어지는 이유, 별의 자전에 의한 개별적인 도플러효과.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별의 흡수선은 별을 이루는 구성 성분에 의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게는 온도가 뜨거워질수록 별을 구성하는 원소, 분자들이 이온화가 잘 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이온화 된 원자인 He과 같은 영역에서 흡수선이 나타날 수 있죠.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He과 같은 원소보다 분자들의 이온화가 잘 일어나기 때문에 흡수선의 오른쪽 부분에서 많이 나타납니다.2.별의 자전이 빠르게 될 경우를 상상해보죠. 별은 구형이고 왼쪽과 오른쪽의 구분이 존재합니다. 만약 우리가 별을 보는데, 별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위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한다고 생각해보죠. 그러면 왼쪽부분은 우리 관찰자에게 다가오는 속력을 갖게되고, 오른쪽부분은 우리 관찰자에게서 멀어지는 속력을 가질것입니다.이 사실을 염두해두고 별에서 방출된 평균적인 파장을 λ라고하죠. 왼쪽 부분은 우리에게 다가오는 속력이니 왼쪽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이 짧게 관측되겠죠. 그래서 λ-a 라고 두겠습니다. a는 도플러 효과로 감소한 파장의 길이입니다. 오른쪽 부분은 우리에게 멀어지는 속력이니 나오는 빛의 파장이 길게 관측됩니다. 그래서 λ+a라고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별의 우측과 좌측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가지고 별의 자전속력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λ+a)-(λ-a)]/2 를 이용하여 도플러 효과의 정도를 얻어낼 수 있기 때문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얼음 겸용 제품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이 만들어지고 보관하기 위해 덜그럭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얼음 겸용 냉장고에서도 제품에 따라 다르겠지만 같은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8
0
0
샴푸 펌프와 물비누 펌프와 과학적 설계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샴푸나 린스, 로션 등 대부분의 펌프는 펌프 부분과 빨대(용액을 끌어올리는 부분)부분으로 나뉩니다. 펌프를 누르면 빨대 부분과 펌프부분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용액을 끌어올리게 됩니다. 그래서 펌프를 누르면 용액이 끌어올라 오면서 빨대에 차있던 용액을 밀어내며 우리의 손으로 나오는것이죠.그런데 특정 물비누의 경우에는 펌프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는 공간이 넓게 형성되어있습니다. 펌프를 누를 때 펌프 부분에 차있던 공기와 물비누(용액)가 섞이며 분출되는것이죠. 펌프를 떼면 다시 공기가 펌프 부분에 주입됩니다. 공기와 물비누가 뒤섞이면 거품이 형성되는 원리(거품은 비누막이 공기를 감싸면서 형성됨)를 사용하여 만든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8
0
0
참빗이 머리결을 좋게 해주는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참빗은 아주 간격이 조밀한 빗입니다. 이를 사용하여 머리를 빗게되면 머리를 가지런히 정돈해줄뿐만아니라 머리결에 붙어있는 먼지, 비듬, 기타 불순물을 제거해줍니다. 그래서 머릿결이 더욱 생기있고 윤기있게 보이는것이죠. 또한, 머리에 윤기를 돌게하기위해 참빗에 기름을 발라 머리를 빗기도 하였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사람들이 바퀴벌레를 왜 혐오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이 바퀴벌레를 싫어하지만 좋아하는 사람도 간혹 있습니다. 바퀴벌레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바퀴벌레가 위생에 좋지 않고 겉모습이 징그럽기 때문에 싫어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또한 바퀴벌레가 질병이나 바이러스를 사람에게 감염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회피하죠. 이건 중요한것인 무언가를 좋아하고 싫어하고는 주관적인것이며 객관화 시킬 수 없는 주제입니다. 그래서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 있어 과학적인 답변이 어렵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공기주입기의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청소기와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컴프레셔를 작동시키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합니다. 그리고 내부에서는 피스톤 작용으로 공기의 압축이 일어나죠. 그리고 용량만큼 공기가 찬다면 피스톤 작용이 멈추며 저장을 완료합니다. 그러면 컴프레셔 내부는 압력이 높은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 때 공기 분사기를 눌러 원하는곳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되는 원리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8
0
0
plaque가 많이 생겼으면 바이러스가 많다고 생각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plaque 박테리아가 많이 있을 경우 투명하거나 옅은 노란부분이 많아집니다. 박테리아는 한마리에서 증식이 가능하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