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쌍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쌍무지개 역시 햇빛이 물방울을 통과하여 생기는데, 프리즘 역할을 하는 물방울 영역이 2개로 나뉘어져 있을 때 볼 수 있습니다.자주 발견되는 특별한 장소는 없으며, 우연히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우주에서 총을 쏘면 총탄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공간에서 물체를 방해하는 저항 역할을 하는 물체나 에너지가 없다면 속도를 유지한채 영원히 날아갈 수 있습니다.하지만 우리 우주에는 반드시 행성, 별 등 다양한 천제가 존재하며 이와 부딪힐 확률이 반드시 존재하며 무거운 중력을 행사하는 천체가 존재하기에 여기에 얽매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무한히 한 방향으로만 날아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첨단 안전 시설에서 사용되는 passive security는 어떤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passive attack 에 대한 보안책입니다. passive attack은 소극적 공격으로 시스템의 자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정보를 얻거나 정보를 사용하려는 시도입니다. 이를 방어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7
0
0
몸에 수분이 부족할 때에도 땀이 계속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극단적인 상황이라면 몸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땀이 덜 날 수 있으며, 그전에 탈수증세를 겪으며 두통과 어지러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소변 보는 시간 간격이 확연히 늘어나며 피부의 탄력도 잃어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7
0
0
에어프라이기 와 전자렌지는 어떤식으로 음식 가열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는 특정파장과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 빛이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데 적합한 진동수와 파장이기 때문에 물만 데워집니다. 유리잔을 떨리게 하는 진동수와 파장이 아닙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는 물분자는 전기적 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극성을 가진 물 분자는 마이크로파(전자기파=빛)와 상호작용하며 빠른 속도로 왕복운동을 하며 진동을 하는 원리입니다. 진동하는 물 분자는 온도가 높아져 음식을 데우는 것이죠.에어프라이기는 뜨거운 열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익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어프라이기 내부에서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키며 음식을 익히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7
0
0
오븐을 작동하면 와이파이가 간섭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는 2.4GHz~2.5GHz 정도의 진동수를 갖습니다. 그리고 와이파이의 전파가 2.4GHz~2.5GHz라면 간섭을 받아 끊기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와이파이의 전파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전자레인지와 와이파이를 먼 거리에 두시면 해결될듯 싶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7
0
0
태풍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은 무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적조나 녹조를 제거해주며 바닷물을 뒤섞어 정화 작용을 일어나게 하고, 대기중의 먼지나 안좋은 물질을 가라앉게하여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하지만, 악영향도 존재합니다. 인명피해, 재산피해, 침수피해, 건물 파손 등이 있으며, 길거리에 쓰레기들이 많아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어 물을 더럽히기도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도자기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자기는 흙을 사용하여 모양을 만들고 이를 구운 뒤 유약을 칠하거나 칠하지 않음으로써 완성시킬 수 있습니다.수분이 가득한 흙(점토)을 뭉쳐 모양을 만들고 이를 가마에 넣어 구워내는데, 구워내는 과정에서 수분을 증발시키며 흙간의 결합을 강하게 만듭니다. 그래서 도자기의 모양을 잡을 수 있는것이죠.도자기는 인류의 역사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인류의 최초의 발명품이며, 서기전 1만년에서 6000년경 사이에 발명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서기전 6000∼5000년경에 만들었다고 보고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7
0
0
지진이 발생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의 지각 밑에 멘틀은 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판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죠.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지진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 바로 남쪽 부근에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등 판이 만나는 경계부가 다수 존재합니다. 그래서 특히 일본에서 지진과 해일, 쓰나미등이 자주 발생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새들은 전선줄에 앉아도 왜 감전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는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또한 전선이 튼튼하고 높게 위치하고 있다면 사람이 매달려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이는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와 같은 이유입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사람도 매달려 있으면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7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