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피부에 딱지는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딱지는 세포가 죽으면서 쌓이며 형성되는 것입니다. 상처가나고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에 있는 혈소판이 피를 멎게 하려고 피를 응고 시킵니다. 그리고 죽은 세포가 굳으며 딱지가 생기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순수 유리창만으로도 자외선이 차단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투명 유리창의 경우 자외선을 거의 차단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자외선 차단 코팅지를 부착하거나 가림막을 설치하여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휴화산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현재는 휴화산이란 용어 보다는 활화산이라는 용어로 사용합니다. 휴화산은 이전에 분화, 화산폭발한적이 있는 화산이 현재는 활동이 멈춰있는 화산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 화산이 언제 또 폭발할지 모르기 때문에 활화산으로 분류하기로하여 휴화산이라는 말보다 활화산을 씁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화산이 분화한다는 게 폭발을 의미하는 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분화라는 표현은 화산 폭발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화산,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의 연구 결과와 역사에 따르면 백두산은 1925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으며 대략 100년에 한번 씩(1세기에 한번) 분화, 화산폭발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화산이나 지진활동에는 특정한 주기성을 갖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2025년 정도에 분화할지는 지켜봐야할듯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눈이 내릴 때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물계 제설제는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녹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3.07.25
0
0
아침에 머리가 뜨는 현상은 왜 이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을 자게되면 보통 누워서 자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가라앉아 있지 않고 누운상태에서 뜬상태가 됩니다. 밤새 이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뜬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일어났을 때 머리가 뜨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25
0
0
지구에서는 절대로 달의 뒷면을 볼수 없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기 때문에 우리는 달의 한 면만을 계속 보게 됩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 소행성의 충돌로 달의 자전이나 공전에 영향을 받게 되면 주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그럴 경우 달의 다른 면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계절이 생기는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 그 중간을 봄과 가을을 맞이합니다.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온도가 높아져 뜨거워지는 여름,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져 추워지는 겨울 등으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금성의 자전주기는 왜이리 느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주기의 경우 초기 금성이 형성될 때 결정되기 때문입니다.초기에 가스나 먼지가 뭉쳐 점차 금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운동량이 결정됩니다. 이 때의 자전 속력이 현재까지 이어져왔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전주기는 행성마다 생성 초기에 다 다르게 결정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고산지역에서 밥을 하면 설익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입니다.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25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