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같은 도심지라도 산옆의 아파트가 공기 질이 더 좋은 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같은 도심지라도 도시속 건물틈이나 차로 변보다는 산옆의 아파트가 공기의 질이 훨씬 좋습니다. 왜냐하면 산에는 풀과 나무가 많이 있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해줍니다. 그래서 산옆이 공기 질이 좋죠.
학문 /
토목공학
23.07.23
0
0
라디오 주파수에서 FM과 AM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 87MHz~108MHz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진동수가 높고, 에너지가 높아 물체나 장애물을 만나면 부딪혀 산란되는 경향이 있어 산이나 지형에서 전달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음질이 좋은 장점이 있죠.AM(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 500kHz~1600KHz로 FM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FM보다 진동수가 낮고 에너지가 낮아 음질이 좋지 않지만, 파장이 길어 장애물이나 산, 지형 등을 잘 지나기 때문에 멀리까지 전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hall effect data analysis?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데이터가 안보이네요.. 홀효과는 전자기학이나 고체물리학에서 학습하시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아니면 구글에 홀효과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부터 응용된 자료까지 찾아 학습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일듯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3
0
3
밥먹다가 기도에 걸려 죽을수도 있는데 왜 이렇게 만들어진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은 입으로 숨을 쉬고, 음식물을 먹기도 하기 때문이죠. 기도에 막히지 않게 음식물을 꼭꼭십어 천천히 드시는 습관만이 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학문 /
화학
23.07.23
0
0
자석은 누가 처음 발명하고 어떤 계기로 만들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은 발명한것은 아니고 발견한 것입니다. 최초로 발견이 된 자석은 중국의 기원전 4세기 경 철로 만들어진 자석입니다. 이러한 자석은 나침반으로 활용되어 가치가 있었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잔듸넝쿨도 치톤피드를 뿜어 내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잔디도 피톤치드를 생산합니다. 공원에 앉아있는 것은 주변에 나무나 잔디 풀숲 등 피톤치드를 생성하는 존재가 많으며, 정화된 맑은 공기가 생성되는 장소기 때문에 건강에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탄소연대측정방법에 의한 궁금증이에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성동위원소 연대측정법은 무겁고 불안정한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원소를 발견하였고, 이들의 특징을 탐구하였습니다. 그 특징 중 하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 입니다. 즉, 반감기는 원소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방사성 동위원소의 수명이 있다는 것을 밝혔죠. 이 사실을 통해 연대 측정을 하는것입니다.방사성 동위원소란 안정적인 원자(주기율표의 원자)내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동일한 비율로 있지만, 이 안정적인 원자에 중성자가 더 붙어 불안정한 원소가 되는데 이를 의미합니다. 이 방사성 동위원소(모 원소, parent atoms)는 다른 불안정한 원소를 만들거나 안정적인 원소를 만들어내며 붕괴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소를 딸 원소, 자 원소(daughter atoms)라고 합니다. 반감기는 초기에 모 원소의 수의 반이 줄어든 시간이며 이 때 딸 원소의 수는 모 원소의 붕괴된 양만큼 생성되는 것이죠.(참고로, 중요한 부분은 알아 내고자 하는 연대(과거 의 그 시점)에서의 딸 원소의 양을 알고 있어야 정확한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는점입니다. 이러한 점을 보정하는 방법이 아이소크론 연대측정 법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23
0
0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면 어디로 없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에 빠지게되면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찢겨 들어가 블랙홀의 일부가 됩니다. 어디로 다시 나오진 않으며, 블랙홀의 질량이 더해집니다.블랙홀에 빠지는 것은 마치 싱크대에 있는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몸이 온전하게 블랙홀로 떨어지는것이 아닌 좌우로도 짓눌리는 힘이 존재하여 몸에 압력이 느껴지며, 블랙홀과 가까운 신체 부위가 블랙홀과 멀리 있는 신체 부위보다 더 빨리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몸이 위아래로 잡아 당겨지는 힘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마치 싱크대로 빨려 들어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아래로 몸은 찢기고, 사방에서 압력이 가해져 몸을 짓누르는 느낌이 들것으로 예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블랙홀이 한 번 생기면 어떻게 해야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대한 블랙홀의 경우 사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직 블랙홀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고 직접관측 또한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일입니다. 블랙홀의 호킹복사가 일어난다는 연구는 이미 잘 되어있습니다. 호킹 복사란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 주변에서 입자와 반입자의 쌍생성 쌍소멸 과정이 일어나는데, 입자가 지평선 밖으로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반입자가 내부 블랙홀의 물질을 소멸 시키는 현상입니다. 즉, 블랙홀의 증발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추가로, 진공에서 입자 반입자의 생성과 소멸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현상은 양자역학적으로 기술합니다.이러한 호킹복사로인해 블랙홀의 증발로 질량이 줄순있지만, 거대한 블랙홀 질량에 미미한 수준으로 거의 영원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크기가 작은 보통 원자 스케일의 블랙홀의 경우 증발이 일어나 금새 소멸할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이 식물의 이름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무나무 같네요. 보통 식물의 이름을 모를 때 네이버의 카메라, 렌즈 검색이나 구글의 이미지 검색을 활용하시면 금새 찾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