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방사능 오염된거면 어떡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큰걱정안하셔도됩니다. 국내에서 위험물질은 특수보관하고 특수 이송하니 우리에게 노출될 위험이 없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방사능 피폭된 물질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됩니다. 트럭에서부터 튄 물질은 집에서 깨끗이 씻길 바라며, 혹시라도 그 부분에 염증이나 이상증상이 보일 경우 병원을 찾는것을 권장드립니다. 하지만 큰일은 없으실거니 너무 걱정안하셔도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2
0
0
지구는 정말 동그라미 모형일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구형입니다. 얼마전 우리나라에서 달탐사선을 쏘아올렸는데 지구와 달이 한번에 들어오게끔 사진을 찍었더니 구형이었습니다. 또한 증거가 더 있습니다. 개기월식이나 부분월식을 보았을 때 지구의 그림자에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인데, 그림자의 모양을 보니 원형이었습니다. 만약 지구가 네모였다면 그림자가 네모로 보였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양자역학이란 용어가 많이 쓰이는데, 간단한 설명과 우리 실생활에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죠.흔히 잘 알고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는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할 수 있죠. 이것이 고전역학입니다. 무거운 짐을 들기위해선 물체의 중력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 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돌고있다를 기술하기위해서는 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우리의 제품과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우리 주변과 우리 몸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기술할 수는 있지만 눈으로 보기엔 어렵죠.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2
0
0
지금 과학계의 최대의 화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양합니다. 과학에는 살아 생전 모든 영역을 건드릴수없을 만큼 다양한 영역이 있습니다. 그래서 특정 분야에 따라 그 화두가 다 다릅니다. 과학계를 통틀어 최고의 화두라는것은 없습니다. 서로 관심있어하고 흥미있어하는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각자가 생각하는 화두가 다른것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09.02
0
0
외계행성을 촬영할수 있다면 생물체 존재도 파악할수 있는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시간지연의 정확한 의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멈춰있는 나의 시계가 1시간이 지날 때, 운동하는(거의 빛의 속도에 가까운 정도로 빠르게 달리는) 사람의 시간은 40분 정도가 지나는 것을 의미하는것이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시간지연입니다. 이때 운동하는 사람의 기준에서는 내가 반대로 뛰고있고, 운동하는 사람은 멈춰있는것으로 보이니 운동하는 사람의 시간이 1시간 지날때, 나의 시간이 40분지나는 거처럼 느껴집니다. 이를 동시성의 상대성이라고 합니다.그럼 어느것이 맞냐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는데, 둘다 맞습니다. 만약 이 둘의 시간을 비교하려면 직접 만나 시간을 비교해야하죠. 이 때 직접 만난다는 것은 운동하는 사람과 정지한 사람이 정해집니다. 왜냐하면 만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명이 가속 운동을 해야 멈출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 결과 운동한 사람의 시간은 조금 흘렀고, 멈춰있는 사람은 시간이 많이 흘러있죠.
학문 /
물리
22.09.02
0
0
육상경기나 각종 트랙경기에서 보면 왼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던데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특별히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관습에 따라 왼쪽방향으로 뛰는것이죠.
학문 /
물리
22.09.02
0
0
후지와라 효과는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후지와라 효과는 유체에서 소용돌이 치는 2개 이상의 흐름이 서로 근접하여 영향(간섭하는)을 미치는 효과입니다. 후지와라 효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서로 세력이 비슷한 태풍끼리 만나면 서로 합병하며, 세력이 한쪽이 더욱 세면 작은 세력의 태풍을 잡아먹습니다. 세력이 강한쪽이 약한 쪽을 지배하죠. 이 효과는 실제 태풍이 합병하며 관측된 적이 있지만, 태풍 2개가 만나는 경우는 드문 경우이기 때문에 항상 관측되는것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바람이부는 이유는 어떤원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것이죠. 또한 바람의 방향을 결정짓는것은 이것말고도 지구의 자전이 있습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우리 지구에서 보는 우리 입장에서 바람의 방향이 생깁니다.바람의 강도는 기압차나 온도차가 클 때 그 강도가 강해집니다. 그래서 태풍과 같은 강한 저기압이 다가오면 높은 기압차로 바람이 강해지죠.
학문 /
화학
22.09.02
0
0
태풍의 진로예측이 어려운이유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이나 기타 기온, 수온, 바람 정보 등의 기상 현상은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2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