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끝을 알 수 없는 우주는 어떻게 생성이 되었을 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과학적으로 이게 절대적으로 맞는것이다 라고 할만한 연구까진 진행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죠. 한점에서 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것이죠. 하지만 이 폭발이 어떻게해서 발생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무에서 유가 창조되었다면 어떤 원리로 창조되었는지를 설명해야합니다. 이를 설명하는데, 물리적인 법칙에 위배가 될수도있으며, 위배가 되지않는 선에서 설명을 하려고하여도 또 다른 무언가를 입증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태풍이나 허리케인등이 발생 하는지역?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 저위도 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이번 태풍 힌남노의 진행방향이 왜 이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힌남노의 진행방향도 편서풍과 바람의 영향으로 방향을 틀어 우리나라로 오는것이죠.
학문 /
화학
22.09.02
0
0
탄산음료 페트병 모양이 어떤원리로 탄산이 터지는걸 방지하는데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 페트병이 울퉁 불퉁한 이유는 탄산 기체가 음료 액상에서 빠져나와 페트병에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압력을 받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곡선형태와 울퉁 불퉁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탄산음료 속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기체가 빠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것입니다. 탄산음료는 온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온도가 높으면 탄산이 많이 빠지고 온도가 낮으면 탄산이 음료에 더욱 많이 녹게 되죠. 그런데 음료를 구매하고 상온에 둔다면 탄산이 빠져나갈것인데 빠질 공간이 없으면 패트병이 팽팽해져 터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차가운 상태라도 우리가 실수로라도 음료를 흔들게 되면 뚜껑을 열시에 음료가 바로 뿜어져 나옵니다. 그래서 약간의 빈 공간을 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09.02
0
0
날씨가 갑자기 선선해졌는데요~ 계절이 바뀌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 그 중간을 봄과 가을을 맞이합니다.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온도가 높아져 뜨거워지는 여름,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져 추워지는 겨울 등으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09.02
0
0
왜 태풍이 가을철에 많이 출몰하는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태풍 경로에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햐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2
0
0
여러 벌레들이 조명에 몰리는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2
0
0
구름의 색과 하늘의 색이 변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밤에는 산란 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부글부글 끓던데 왜 물이 차갑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이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드라이아이스 입장에서 뜨거운 물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물에게 열을 뺏기며 승화(고체->기체)합니다. 즉, 이산화탄소 기체를 만들어내죠. 그래서 물이 부글부글 끓는거처럼 느끼는것입니다. 드라이아이스에서 나온 이산화탄소가 기포가 되고 공기중으로 나가기 위해 수면위로 떠오른것이죠. 그리고 드라이아이스가 물의 열을 뺏으니 물은 영하로 온도가 떨어지면서 얼게됩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