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양도 우주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공전한다고 들었는데, 그 지점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과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크게 공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공전하다 보면 우리 은하계 내에 있는 다른 천체와 충돌할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은하는 광활하여 그 시간이 굉장히 오래걸리며 언제 어떻게 충돌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우리 은하가 굉장히 안정돼있다면 충돌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또한, 우리 은하도 멈춰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언젠간 다른 은하와 충돌할 가능성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인간이 핵분열 연구를 하는 것과는 별개로, 자연적으로 핵분열이 일어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자연적으로 핵분열이 일어나기도 합니다.핵분열은 무겁고 불안정한 동위원소가 붕괴하며 중성자를 방출하며 다른 원자로 변하면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 때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자연적으로 핵이 분열하는 과정에서의 조건은 불안정한 동위원소가 존재하는 것과 붕괴가 일어나는 때입니다.인위적인 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7
0
0
물을 만지면 소변이 마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소변이 마려우면 화장실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소변이 마렵지 않은 상황에서 화장실을 사용하거나, 샤워를 하게될 경우 이전에 학습된 것들에 의해 소변이 마려워지는 현상이 나타나죠. 마치 파블로프의 개 실험과 비슷한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3.07.17
0
0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면 물이 생기잖아요. 그렇다면 화성에 수소와 산소를 넣으면 대량의 물이 생기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와 산소를 공급해두면 번개가 치거나 할 때 물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수소와 산소를 가만히 둔다고 물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죠.수소와 산소를 대량으로 화성에 옮기는 방법에 대한 비용적, 기술적 문제가 아직 완전하진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세계 최초로 컴퓨터를 개발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는 계산기로 주판으로부터 시작하여 여러 계산기가 고안되고 개발되었습니다.수학자 파스칼이 기계식 계산기를 발명하였습니다. 이따라 영국의 찰스 배비지라는 사람이 차분기관, 해석기관과 같은 복잡한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를 최초로 발명하였습니다. 또한, 현대식 컴퓨터에 앞서 암호 해독을 위한 컴퓨터를 개발한 사람은 앨런 튜링입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친숙한 최초의 컴퓨터는 모클리와 에커트가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한 에니악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7
0
0
곤충의 더듬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의 더듬이는 페로몬을 감지하거나, 촉각, 후각, 청각, 미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별까지의 거리는 어떤 방식으로 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의 거리를 계산하는 2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1. 별의 연주시차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별은 태양,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죠.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반 바퀴 돌 동안(6개월) 거리를 재고 싶은 별을 관측합니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바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바뀌기 전의 별의 위치와 바뀐 후의 별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잇각 θ를 측정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는 1AU로 아는 값이고, 태양과 별 그리고 지구와 별 사이의 각이 θ/2 이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해 태양과 별 사이 거리를 찾을 수 있고, 지구와 별 사이 거리도 찾을 수 있습니다.2. 별의 밝기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별에는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이 있습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이며,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볼 때 밝기 등급입니다. 만약 지구에서 별을 보았는데, 실제보다 밝다면 가까이 있는것이고, 실제보다 어둡다면 멀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별의 절대등급은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 또한 관측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빛의 밝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면 별까지 거리를 찾아낼 수 있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인바디 측정은 어떤원리를 이용하여 측정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바디 측정기의 원리는 사람의 몸 부위 마다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신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며 지방량, 근육량 등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지방 부위나 근육(단백질) 부위의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저항값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이용해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각 부위의 저항을 측정해냄으로써 지방, 근육의 비율을 계산해내는 원리입니다. 지방의 경우는 기름기가 많고 수분이 적어 저항이 높으며, 근육(단백질)의 경우 수분이 많고 기름기가 적어 저항이 낮은 특징이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맞아도 아프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빗방울의 종단속력은(낙하할 때 공기저항을 받아 일정해지는 속력) 9m/s 정도가 됩니다. 그리고 빗방울의 무게는 0.1g 정도로 굉장히 작어 충격량, 충격력이 작습니다. 그래서 비를 맞아도 아프지 않은 것이죠.만약 공기저항이 없다면 빗방울의 속력은 150m/s 이상이 됩니다. 이는 시속 500km이상으로 굉장히 빠른 속력이고 충격량이 커 따갑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은 어떻게 생겨나게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이 어떻게 생기는 지는 아직 정확하게 관측된 사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설을 세우고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생기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1.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2.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1. 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2.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될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