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하품을 하는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은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얻으려 많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하품을 하는것입니다. 주변에서 하품을 하면 주변사람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이고, 주변 사람들의 하품으로 인해 더욱 산소가 부족해져 하품이 연쇄적으로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5
0
0
30층 이상 고층 건물. 비가 오면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해무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고층건물일수록 해무나 안개가 더 짙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비가온 날, 비가온 다음날, 습한 날에 이러한 현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5
0
0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과학 관련 놀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할 수 있는 놀이는 사이클로이드 놀이, 실 전화기 놀이, 잠수함 놀이 등이 있습니다. 관련링크를 참고해서 아이에게 유익한 시간을 선사해주시길바랍니다.사이클로이드https://youtu.be/6APtVj-ADvIhttps://youtube.com/shorts/yE_7ot_Utc4?feature=share실전화기https://youtu.be/0JmZ74BJlB0잠수함 놀이https://youtu.be/QzrdclmGqw0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하루에 대기권으로 떨어지는 운석은 보통 몇 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돌멩이나 작은 운석 같은 것들은 셀수없이 많은 양이 지구로 날아들어옵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셀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운석중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이 별똥별이 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요즘 비가 많이 내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장마기간이라 비가 많이내립니다. 이 비는 2~3주 정도 지속될 것이라고 기상 예보에 나왔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태양계의 행성의 모양은 모두 둥글던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끌어당기는 힘인 중력은 모든 곳으로 균등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행성이 우주의 먼지와 가스들이 뭉쳐 중력에 의해 만들어지게 됩니다. 초기에 모양은 울퉁 불퉁하며 둥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변 먼지와 가스들을 끌어당길수록 크기가 커지게 되고, 중력이 강해져 울퉁 불퉁한 모양에서 튀어나온부분의 물질들이 오목한 부분으로 굴러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오목한 부분을 채우며 점점 구형의 형태로 되는 것이죠. 우리가 그릇을 두고 구슬을 놔두면 그릇의 가장 밑바닥으로 가는 원리와 동일합니다. 그래서 행성의 모양이 구형이 됩니다. 물론 지역적으로 작은 일부분을 보면 산과같이 튀어나온 부분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적으로 봤을 때 산은 아주 조금 튀어나온 부분으로 취급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차가운 공기가 뜨거운 공기보다 무거운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온도의 정의에 있습니다. 온도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 입자를 빠르게 움직이게 할 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즉, 온도가 증가하면 입자들이 활발해져 부피가 증가하죠. 반대로 온도가 낮다는 것은 입자들의 움직임이 둔해 뭉쳐있음을 의미합니다.즉, 온도가 낮아 뭉쳐있게 되면 같은 부피속에 더 많은 공기들이 존재해 무거워지며, 온도가 높으면 더 적은 공기들이 존재해 가벼워집니다. 그래서 찬공기는 가라앉고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7.15
0
0
매미가 우는거는 암수중 뭐가 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매미의 수컷이 우는 것이 맞습니다. 매미의 암컷은 산란 기관 때문에 소리를 내지 못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울음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우리나라 고속열차인 KTX 과학적 원리가 뭐에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KTX나 SRT의 경우 기존 새마을, 무궁화와 같은 열차와 다르게 모터나 엔진이 좋습니다. 그래서 시속 300km까지 달릴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란 속담이 있는데 정말 맑은하늘에 날벼락이 일어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 한점없는 맑은 하늘이라면 날벼락이 칠 수는 없습니다.하지만 구름이 존재하면서 맑은 하늘이라면 칠 확률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만큼 확률이 적기에 돌발적인 상황에 쓰는 표현이죠.구름이 둥실 있으면서 맑은날 습도가 높을 경우 또는 먹구름으로 보이는 구름이 있을 경우 구름 내 수증기량이 많아지고 음전하가 많아져 벼락이 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