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최근 중성자를 통해 암을 치료하는 원리는?
안녕하세요.중성자 치료는 암세포에다가 보론이라는 물질을 넣고 중성자를 쏘는 방식으로 치료를 하게 됩니다. 보론이 중성자를 맞으면 그 안에서 작은 폭발처럼 에너지가 생기면서 그것이 암세포만 파괴하게 됩니다. 정상 세포는 거의 손상되지 않게 치료하는 것이라서 아주 정밀하다고 합니다. 중성자가 표적 치료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일 전
0
0
입자 가속기가 미세한 소립자의 구조 관찰을 위해 사용하는 충돌 실험
안녕하세요. 입자 가속기는 말그대로 아주 빠르게 입자들을 움직여서 부딪히게 하는 것입니다. 이 때 순간적으로 엄청난 에너지가 생기게 되는데, 그러면서 입자 속 구조가 드러나거나 새 입자가 생기게 됩니다. 센서가 그 궤적과 에너지를 분석해서 안쪽 구조를 알아내는 구조로 볼 수 있습니다. 즉, 미세 세계를 부딪쳐서 보는 현미경 같은 거라 볼 수 있죠.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일 전
0
0
형상기억합금이 열 자극에 따라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원리
안녕하세요. 형상기억합금은 온도에 따라 구조가 바뀌는 금속을 의미합니다. 차가울 경우에는 쉽게 휘어지는 구조로 있다가 열을 받게되면 다기 원래 모양으로 구조가 바뀌게 되죠. 즉, 내부 원자 배열이 기억된 형태로 다시 정렬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걸 재료공학에서는 상변태라고 부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일 전
0
0
차단기 구조 및 용어에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상식 선에서는 거의 완벽하게 이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차단기 안에는 두 가지 트립 장치가 있는데, 하나가 열로 천천히 작동하는 방식이고 또하나는 자기력으로 순간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각각 열동형과 자기형이라고 하죠. 그리고 kA는 이 차단기가 얼마나 큰 폭발적인 전류까지 견디고 끊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일 전
0
1
정전기를 느끼는 것도 결국은 전류 때문인가요? 아니면 전압때문인가요? 뭐가 원인이 되어서 이동되어서 따끔한지를 알고 싶습니다. 알려주세여.
안녕하세요.정전기가 따끔한 것은 전기가 순간적으로 흘러서 입니다. 전압은 몸이나 옷에 전하가 쌓여서 생기는 것이고 그게 금속 같은 데 닿을 때 한순간에 탁 하고 방전되면서 전류가 흐르는 거죠. 그래서 느낌은 전류 떄문이고, 전압은 그걸 일으키는 원인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6
0
0
마이크로파가 유리를 통과하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겉보기에는 그냥 유리 같아 보일 겁니다. 그러나 유리 안쪽에 보면 아주 촘촘한 금속망이 들어 있어요. 마이크로파 자체가 파장이 길어서 그 구멍보다 큽니다. 그래서 밖으로 못나오죠. 그래서 안은 잘 보이지만, 마이크로파는 완전히 막혀서 안전하게 조리만 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6
5.0
1명 평가
0
0
스마트폰의 음식인식 센서는 계속적으로 켜져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보통 하이 빅스비, 시리야 같이 음성인식 센서는 마이크가 계속 녹음 중인 것은 아닙니다. 그러면 배터리가 금방 닳겠죠. 소리 중에서 특정 단어만 찾는 초전전력 칩이 따로 작동하는 것입니다. 평소에는 거의 잠들어 있다가 그 단어를 들으면 그때 메인 시스템이 깨어나는 그런 방식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6
0
0
초소형 센서 기술이 스마트 워치의 헬스케어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
안녕하세요.스마트 워치나 심박수나 심전도를 보는 것은 안에 들어 있는 아주 작은 센서들 덕분입니다. 손목에 닿은 피부로 빛을 쏘거나 그 반사량을 읽어서 맥박을 계산하거나, 전극으로 미세한 전류 변화를 감지해서 심전도를 그리는 것이죠. 이런 센서들은 엄청 얇은 초소형 전자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고 정확하게 몸 상태를 읽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6
0
0
소리의 주파수가 동일한데 왜 밤과 낮에는 소리가 더 크고 작게 들리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소리가 밤에 더 크게 들리는 이유는 온도랑 공기층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낮에는 지면이 뜨거워서 소리가 위로 퍼지지만 밤에는 지면이 식어서 차가운 공기가 아래 깔리고 따뜻한 공기가 위에 있어 소리가 위로 안 새고 땅으로 되돌아오듯 퍼집니다. 그래서 같은 소리도 밤에는 더 또렷하게 들리는 것이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6
0
0
금속의 피로 현상이 반복 하중에 의해 누적되는 과정과 이를 방지하는 설계
안녕하세요. 금속은 계속 힘을 받다 보면 겉에서 작은 균열들이 생기고, 그게 조금씩 커져서 결국에는 부서집니다. 이걸 피로 파손이라고 부르죠. 그래서 표면을 단단하게 만드는 경화처리를 하거난 미세하게 두드려서 압축응력을 줘서 균열이 안생기게 하는 방법들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설계할 때 모서리나 구멍 부분처럼 힘이 몰리는 곳을 줄여 훨씬 오래 버틸 수 있게 재료를 설계하기도 한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10.06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