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절에 가면 만자를 볼 수있는데 옛날 나치들도 어떻게 하다 만자를 쓰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에서의 만 과 나치의 만은 차이가 있습니다문양은 비슷하지만 나치의 만(하켄크로이츠) 은 45도 기울어져있습니다히틀러가 자신들의 정당성을 내세울 심볼로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독일어로 갈고리룰 뜻하는 하켄과 십자가를 뜻하는 크로이츠가 합쳐진 이름입니다하켄크로이츠는 고대 게르만족의 룬 문자에서 유래하였고 고대 아리아인의 상징으로 아돌푸 히틀러에 의해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의 당기로 쓰였습니다
학문 /
미술
22.11.01
0
0
장보고를 바다의 왕자라고 하는건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보고 하면 청해진이 있습니다청해진은 장보고가 당나라에 건너가 생활하는 동안 당나라 지방군벌의 상황과 당시의 국제무역에 대해 깊은 의식을 갖게되며 완도의 지리적 위치를 이용하여 해군기지이자 무역 거점으 되는 청해진을 설치하였습니다청해진은 당시 신라와 당나라, 일본을 잇는 해상교통로 역할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옛부터 결혼식을 올리고 폐백을 할때나 고사나 제사등 지낼때 왜 대추나 밤을 꼭 챙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나 결혼때 밤,대추를 놓는 의미는 행사마다 그 의미가 다릅니다제사때는 그 계절에 맞는 과실을 놓는것으로 조상에 대한 예를 차린다고 생각하여 가을에 맞는 과일 밤, 대추를 놓기도 합니다밤, 대추는 제사에서 과일들이 상서로움, 희망,위엄과 출세를 나타내는 과일이기 때문입니다결혼식 즉 폐백때에는대추의 경우 암수가 한몸이고 한나무에 많은 열매를 맺으며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가 맺힙니다또한 대추씨는 통씨이기때문에 절개와 순수한 혈통,자손의 번창을 기원합니다밤은 자신의 근본을 잊지말며 자기의 조상과 영원한 연결을 상징합니다아이가 성장할때 부모는 밤처럼 억센가시로 자식을 보호하다 성장을 마치면 품안을 벗어나 살아가라는 의미입니다밤은 딸을, 대추는 아들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학문 /
역사
22.11.01
0
0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뭘보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림작품의 구도, 색감, 다향한 방향으로 감상했을 시 표현되는 작품의 다양성 등을 감상합니다또한 그림을 오래보며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보며 작품을 통하여 감정까지 느끼는 분들도 많습니다아름다움을 오래도록 감상하며 머리에 입력하고 그 당시의 감정과 기분 또한 기억하려하는 분들도 많구요그림을 오래본다고 해서 그 이유가 명확하게 있는것은 아닙니다 :)
학문 /
미술
22.11.01
0
0
단편집을 읽다 가장귀라는 문구가 나와 뜻을 알고 싶읍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는 실생활에서 잘 사용하지 않고있는 단어입니다표준국어사전에 의하면 가장귀는 나뭇가지에 갈라진 부분 또는 그럴게 생긴 나뭇가지 라 표시하였습니다가장귀는 가지의 방언 입니다
학문 /
문학
22.10.31
0
0
어이없다는 말과 어처구니가 없다는 말은 같은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처구니없다, 어이가 없다 는 둘 다 표준어에 속합니다어처구니란 한옥의 용마루, 처마끝에 십장생 동물형상을 장식하는것을 뜻합니다어이가 없다는 옛 궁궐안에 임금이나 왕족을 치료하던 의원을 뜻하므로 의사가 없다는 말과 일맥상통합니다이에 기가막힌 상황에서는 사용하기는 애매한 표현으로 봅니다어이 라는 단어 자체가 엄청나게 큰 사람,사물을 뜻하므로 평소 보기 드물거나 어려운 광경을 볼때 사용하는갓이 옳습니다죽 어처구니없다, 어이가없다는 강도의 차이가 아니라 사용하는 속뜻이 다르다고 보면 됩니다
학문 /
철학
22.10.31
0
0
이순신장군의 가장 큰 없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 장군의 업적입니다한산도대첩: 왜군을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해 학익진으로 왜선 110여척을 격침, 1만여명의 적군을 전사시킨 전투명량대첩: 1597년 9월 16일 12척의 배로 133척의 왜선과 맞서 싸운 전투로 이순신장군은 왜군을 울돌목으로 유인하여 120여척을 격침하고 승리한 전투입니다노량대첩: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이며 1598년 11월 19일 도망치는 왜군을 쫓아 노량에서 치뤄진 전투입니다왜군의 배 500여척 중 400여척을 격침하고 대승을 거두었지만 전사하셨습니다
학문 /
역사
22.10.31
0
0
인주는 어느나라에서 발명한것인가요? 언제부터 한국에서 사용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주는 춘추,진, 한 시기에 봉니가 사용되었고 당시에 간독을 썼기때문에 이것을 끈으로 묶고 매듭을 지어 진흙을 발라 밀봉한 후 위에 도장을 찍었습니다이 진흙을 봉니라 부르고 위진남북조시대까지 사용되었습니다수,당에 이르러 비단과 종이가 사용되면서부터는 물, 봉밀, 주사를 섞어 사용하였고 명나라에이르러서는 이것에 기름을 섞어 사용을 용이하게 하였습니다인주가 붉은 이유는 중국에서 유래하였는데 인주를 만드는 원료가 수은의 독성을 막아주고 문서의 부패를 막아주기때문에 사용되었고 붉은 인주를 사용한 도장은 진위여부를 가릴수 있기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2.10.31
0
0
독립운동가의 의사와 열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립 의사, 열사 모두 순국선열에 해당합니다의사와 열사는 모두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다가 돌아가신 순국선열을 이르는 단어입니다국가보훈처에서는 순국선열 중 무기를 이용해 항거하다 의롭게 순국하신 분을 의사로 칭하고, 맨몸으로 저항하다 의롭게 순국해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분을 열사로 칭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30
0
0
라면을 최초로 만든 사람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라면 진짜 맛있죠.. 간편해서 저는 하루 한끼는 꼭 라면을 먹어요:)라면을 만든 최초의 사람은 일본 닛산식품이라는 곳에서 국수면에 양념국물을 섞어 끓는 물에 2분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개잘한것이 최초입니다우리나라 라면의 경우 1963년 삼양식품입니다
학문 /
역사
22.10.30
0
0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