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자세한 설명 남겨 도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617개
답변 평점
4.7
(101)
받은 응원박스
6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149개
친절한 답변
82
자세한 설명
21
명확한 답변
21
돋보이는 전문성
13
성의없는 답변
4
이해하기 어려움
3
명확하지 않은 답변
3
설명이 부족함
2
최근 답변
번개가 내리치눈 것을 보면 엄청 얇던데 왜 우리 눈에는 엄청 두껍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번개가 실제로 얇은데 굵게 보이는 현상은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로는, 번개의 매우 강렬한 빛이 눈의 망막에 짧게 남는 잔상 효과를 일으켜 실제보다 두꺼워 보이게 합니다. 둘째로, 빛의 밝기가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시야나 카메라에서 주변으로 빛이 번져 보이는 과노출 효과가 발생하여 실제보다 넓게 인식됩니다. 셋째, 공기 중의 입자들이 빛을 산란시켜 번개 주변까지 밝게 만들어 착시를 더합니다. 즉, 번개의 굵기는 물리적인 두께가 아닌, 순간적인 강한 빛이 만들어내는 시각적인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스피커 같은데 들어가 있는 자석은 무슨 역할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스피커 속 자석은 전기 에너지를 소리로 변환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오디오 신호가 흐르는 보이스 코일이 자석이 만든 강력한 자기장 속에서 전자기력을 받습니다. 이 힘이 코일과 연결된 진동판을 앞뒤로 빠르게 움직여 음파를 만들며 소리가 납니다. 자석이 강할수록 효율과 음질이 좋아집니다. 다른 전자제품에서 자석은 모터의 움직임 생성이나 데이터 저장(HDD), 센서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5.0
1명 평가
0
0
광전 효과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광전 효과는 금속 표면에 특정 진동수 이상의 빛을 쪼였을 때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이라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할 거 같아요. 중요 포인트는 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빛의 세기가 아닌 오직 진동수에만 의존한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밝혀졌구, 아인슈타인은 이를 빛이 '광자'라는 에너지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는 광양자설로 설명했습니다. 현재는 이 광전효과를 이용해서 태양발전기에도 쓰이고, 스마트폰과 바코드 등 우리 실생활 많은곳에서 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7
5.0
1명 평가
0
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최정훈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랭킹
28위
학문 분야
-
자격증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