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미술 예술 영상 컨텐츠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1,018개
답변 평점
5
(3)
받은 응원박스
0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4개
친절한 답변
1
자세한 설명
1
명확한 답변
1
돋보이는 전문성
1
최근 답변
신라에서 편찬한 삼대목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사기에 따르면, 진성왕(진성여왕) 2년인 888년 즈음에 위홍(韻虹)과 대구 화상(大丘和尙)이 왕의 명을 받아 향가를 수집하여 엮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는데요. 이 삼대목은 신라시대에 편찬된 한국 최초의 향가집으로, 신라시대의 향가를 세 시대로 나누어 분류했다고 합니다. 또한 삼대목은 신라시대 세 시대에 걸친 향가로, 찬가(讚歌), 기원가(祈願歌), 주가(呪歌), 민요, 제의가(祭儀歌) 등 다양한 종류의 향가가 포함된 것으로 볼때 그 규모의 방대함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다만 삼대목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원본이 부실하여 정확한 내용까지 파악하긴 어렵지만 일부 가사들과 기록물들로 볼때 신라시대의 종교적인 의식과 국가의 문화행사, 일상 생활등 다양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담겨져 있을것이라 추측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발해 수도인 상경용천부는 현재로 따지면 어디쯤인지 그 위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의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는 당시 만주에 위치했던 과거 발해5경중 하나였고 수도이기도 했던 도시인데요. 발해의 수도인 상경용천부는 당시 755년 즈음 제3대 문왕 대흠무가 중경 현덕부(中京顯德府)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다고 합니다. 현재로 따지면 정확하진 않지만 중국 흑룡강성 영안 쪽이 그 위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우리 민족은 언제부터 소리를 이용한 농경 우경을 시작하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에서 농사에 소를 처음 사용한 시기는 삼국시대 후기인 4세기에서 6세기 사이로 추측됩니다. 이 시기부터 소를 농사에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에는 의례나 짐을 싣고 수레를 끄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삼국시대 후기부터는 소가 농사에 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전문가 랭킹
-
학문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