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치질은 비뇨기과에 가야하나요? 아니면 외과에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치질의 경우 외과. 그중에서 대장항문외과에 가시면 되겠습니다. 비뇨기과는 항문은 안 봅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0.15
0
0
좁쌀여드름 없애고 싶어요 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너무 심하고 재발이 잦으면 레이저 치료를 받으시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레이저의 종류가 천차만별입니다만 피지선을 조절하는 레이저가 있는 의원에서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는 의료기관에 연락을 해보셔야 알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5.10.15
0
0
오늘 재채기랑 코 간지러움이 너무 심해요 ㅠㅠ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글의 내용만 봐서는 원인 물질을 알기는 어렵겠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가능성이 높으니 지르텍과 같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보시고 증상이 지속되면 내과나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5.10.15
0
0
대변을 볼 때 피가 조금씩 나는데 어떡하죠?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휴지에 묻어나오는 선홍색 피는 대부분 치질입니다. 배변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섬유질과 수분을 많이 섭취하시고 스트레스관리 잘 하시고 숙면을 취하시는게 좋겠습니다. 하루에 2회정도 따뜻한 물로 좌욕을 해보십시오.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혈변의 양이 늘어난다면 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니 의료기관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0.15
0
0
코로나 예방접종 돈 내고도 맞긴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네 많습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 고령자와 함께 사는 사람도 맞고, 아이나 면역력이 낮은 환자와 사는 분들도 맞습니다. 그리고 본인의 건강을 위해서 맞는 분들도 많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0.15
0
0
손가락에 이거 고름? 염증? 같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먼저 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움을 이해해주시기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고름이 찰 정도로 염증이 있는데 통증이나 주위 발적이 전혀 없기는 힘들어보입니다. 지문도 조금 지워져있는것으로 보아 자주 사용하시면서 굳은살이 올라온게 아닌가 싶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5.10.15
0
0
치매 검사관련하여 궁금한점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기억력이 감퇴되는 원인은 치매 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도 있습니다.일단 mmse 테스트를 하면서 인지능력 상태를 볼것이고 기질적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ct mri등을 찍습니다.대개 백질변화정도만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수두증이나 동맥협착 뇌종양과같은 다른 기질적 요인을 확인 하는 경우가 있어 영상검사는 찍으시는게 좋습니다. 다만 가격대가 다른 mri가 각각 어떤 것을 중점으로 볼지는 가격으로 알 수는 없습니다. 해당 의료기관에 물어보시는게 좊겠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0.15
5.0
1명 평가
0
0
백내장 수술은 필수적으로 꼭 해야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백내장 수술은 통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으면 하게 됩니다. 다만 너무 묵혀놓으셔서 백내장이 많이 진행되게되면 수술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니 꼭 응급으로 할 필요가 없는 수술이라도, 차후에 언제쯤까지 미뤄도 될지 주치의와 상의하셔서 결정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안과
25.10.15
0
0
피부 만성염증에 좁쌀 같은것들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적혀있는 것만 봐서는 질병을 유추하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4개월의 역사를 가진 질환이면 일단 진료를 보시는게 우선입니다. 우리 몸은 어느정도의 회복력이 있습니다. 4개월 전부터 증상이 있었다면 참지 마시고 피부과 전문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5.10.15
5.0
1명 평가
0
0
수면부족으로 심장이 두근두근거려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수면부족이나 스트레스가 심하면 코티졸과 카타콜아민이 분비되면서 심박을 올릴 수 있고 때로는 부정맥도 유발하기도 합미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어서 약제 복용중이라면 약제 요구량이 줄어들었어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약제 효과가 세면 두근거리고 불면이 있을 수 있습미다. 반복되시면 의료기관에가서 심전도와 갑상선호르몬검사를 받아보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0.15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