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단군왕검께서 아사달에도읍을정하고 고조선 을건국하니 아사달은 오늘날의 지명이 어디인지요?
안녕하세요. 아사달(阿斯達)은 단군이 고조선을 개국할 때의 도읍으로 지금의 위치는 황해도 구월산이라고 합니다.구월산은 백악산이라고도 불리었다고 하는대요. 일연이 쓴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단군신화에 나오는 산이름으로서 백악산은 ‘밝은 산’, ‘불산’이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옛날 ‘신비한 산, 신성한 산’으로 여겨온 중요한 산이었다고 합니다.구월산은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과 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우리 나라 4대 명산 중의 하나입니다.단군이 아사달에서 9월 9일에 승천하여 신(神)이 되었으므로 구월산이라 일컫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합니다.또 단군이 수도를 평양에 정하였다가 이곳 구월산에 옮기고 수 천 년간 나라를 다스렸다고 전해집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빌런이란 말이 생기게 된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DC코믹스나 마블의 히어로물 영화를 보면 악당을 의미하는 빌런(villain)이 꼭 등장합니다.이 빌런을 극의 중심이 되는 악인이나 악한, 그리고 범죄자를 뜻하기도 합니다.‘빌런’은 라틴어 '빌라누스(villanus)'에서 유래된 것으로 빌라누스는 고대 로마의 농장 '빌라(villa)'에서 일하는 농민들을 말합니다.빌라누스들은 가난과 차별로 인해 결국 상인과 귀족들의 재산을 약탈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결국 악당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최근에는 '빌런'이 무언가에 집착하거나 평범한 사람과 다른 행동을 보이는 ‘괴짜’를 일컫는 말로 확장되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대마도를 정벌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대마도는 우리나라과 일본 사이의 해협에 위치한 곳으로 토지가 척박하여 식량을 외부에서 충당해 생활해왔다고 합니다.고려 말에는 조공의 형식을 취하여 그 대가로 미곡을 받아 갔으나 기근이 심할 때면 해적으로 돌변하여 우리 해안을 약탈하므로 조정에서는 군사 시켜 이를 정벌했다고 합니다.대마도 정벌이 처음 시작된 것은 고려, 창왕(1389년) 때로 무신 박위가 병선 100척을 이끌고 대마도를 공격하여 왜선 300척을 불사르고 고려의 민간인 포로 남녀 100여 명을 구해왔다고 합니다.두 번째 정벌은 조선 태조(1396년) 때 문하우정승이었던 김사형이 오도병마처치사가 되어 대마도를 정벌했다고 합니다.세 번째 정벌은 세종(1419년) 때로 대마도에 흉년이 들어 식량이 부족하게 되자 왜구는 대거 명나라 해안으로 향하던 중, 우리나라 해주(海州) 해안을 약탈하여 이에 정벌하게 되었다고 합니다.우리가 대마도를 정벌한 적이 있다고 대마도가 우리 땅이라고 우기는 것은 일본의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를 답습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요즘은 유튜브에 인문학 강의 많아. 졌네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문학(人文學)은 글자 그대로 인간에 대한 학문으로, 주로 인간과 관련된 근원적인 문제나 사상, 문화 등을 중심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이러한 인문학은 인간의 가치와 관련된 거이 모든 문제를 연구의 영역으로 삼습니다.이런 인문학이 유행하는 이유는 인문학 작품들이 오랫동안 살아남은 만큼 모든 시대에 적용가능한 지혜가 담겨 있고,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의 공감대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이 아닐까요!인문학은 삶을 길게 보고 세상을 넓게 보게 해서 그것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인생을 통용하는 삶의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이렇게 최근 인문학에 대한 우리의 관심사는 감히 열풍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사람들의 관심이 많으니 당연 사람들의 관심과 좋아요를 먹고 사는 유튜버들이 인문학을 소재로 다룰 수 밖에 없기에 유튜브에 인문학 강의가 많아진게 아닐까 합니다.인문학 강의의 시초는 스티브잡스로 부터 시작됐다고 생각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2.12.01
0
2
자유의여신상은 햇불든손이. 오른손인가요 왼손인가요?
안녕하세요. '자유의 여신상'이 들고 있는 횃불은 오른손이 들고 있습니다.‘자유의 여신상’은 1875년에 프랑스에서 만들기 시작하여 1884년에 완성, 1885년 배를 통해 미국으로 이송되어 1886년에 미국 뉴욕항 허드슨강 입구의 리버티섬에 세워진 조각상입니다.이는 프랑스가 1886년에 미국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선물한 것이라고 합니다.동(銅)으로 만든 자유의 여신상의 엄청난 무게와 크기로 횃불까지 높이는 93.5m(약 100m)에 이른다고 합니다. 머리에 쓴 왕관은 7개 대륙을 상징하는 뿔이 달려 있고 오른손에는 ‘세계를 비추는 자유의 빛’을 상징하는 횃불을 들고 있으며, 왼손에는 ‘1776년 7월 4일’이라는 날짜가 새겨진 독립선언서를 들고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1
0
0
독도와 대마도중 어떤것이 더 중요할까요?
안녕하세요.저는 독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단순하게 면적만을 볼 것이 아니라 그 지역 해양에 있는 천연자원을 생각하면, 그리고 그 지역에 풍부한 어류를 생각한다면 독도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독도 부근의 바다에는 많은 수산자원이 있습니다. 회유성 어종이 풍부한 황금어장이며 해양동물과 해조류 풍성합니다. 또한 해저자원인 하이드레이트가 분포되어 있다고 추정되고 있고 석유자원의 보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이런 경제적 가치로 볼 때 대마도보다 독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뜨거운 추상화와 차가운 추상화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뜨거운 추상화란 자유롭고 다이내믹한 추상 미술을 말합니다. 뜨거운 추상의 대표적인 화가인 바실리 칸딘스키는 현대 추상회화의 선구자로서,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에서 벗어나 선명한 색채로써 다이내믹한 추상화를 그렸다고 합니다.잭슨 폴록이라는 미국의 추상화가는 표현주의를 거쳐 격렬한 필치를 거듭하는 추상화를 창출했다고 하는대요, 이런 기법의 추상화를 뜨거운 추상화 또는 이를 추상 표현주의라고도 합니다.반면 차가운 추상화란 화가 몬드리안이 추구한 질서와 비율, 균형의 이성적 느낌을 중시하는 미술을 말한다고 합니다.네덜란드의 출신의 화가인 몬드리안은 칸딘스키와 더불어 추상화의 선구자로 불립니다.몬드리안은 자연주의와 포비슴을 거쳐 수평과 수직의 순수 추상으로 지행하는대요. 이는 질서와 비율과 균형의 미를 추구하는 것으로 차가운 추상 또는 기하학적 추상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1
0
0
'천재패밀리'처럼 가볍고 재밌게 볼 만화책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니노미야 도모코 작가의 만화를 좋아하시는군요. '천재 패밀리'도 재미있게 보셨다면 도모코 작가의 최근작 '전당포 시노부의 보석상'을 추천해 드립니다.'GREEN~ 농촌 총각에게 시집 갈래요'도 괜찮은 작품이구요.라가와 마리모 작가의 '아기와 나'도 추천드립니다.아다치 미츠루 작가의 야구만화 H2도 재미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1
0
0
조선시대 왕의 명칭 뒤에 조, 종, 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의 왕 가운데 묘호 뒤에 ‘조’가 붙는 경우도 있고 ‘종’이나 ‘군’이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조선시대 27명의 왕 가운데 ‘조’를 붙은 경우는 7명입니다.태조, 세조, 인조, 정조, 영조, 선조, 순조의 경우처럼 ‘조’가 붙는 경우는 업적이 지대하게 크거나 옳지못한 정치를 하는 왕을 폐위하여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등의 여러 가지 공적을 남긴 왕에게 붙여지는 묘호라고 합니다.‘종’은 ‘조’를 붙인 왕 외의 나머지 왕들에게 붙더진 것으로 이는 나라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다스린 경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군’의 경우는 나라를 위한 업적과 공을 쌓지 못하거나 왕위에서 폐지된 경우 군으로 강등되었는대요. 광해군과 연산군이 이에 해당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월드컵 16강 3차전은 왜 같은시간대에 하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월드컵 16강 3차전을 같은 조인 경우 같은 시간대에 경기하는 것은 그 시간 대 열리는 조별 경기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이 3차전의 경우 자신의 팀이 상대팀을 이긴다고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승점에 따라 또는 동점일 경우 골 득실에 따라 조의 1, 2의 팀만이 16강에 진출하기 때문입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