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2년부터 전시해설(도슨트)를 하고있는 김찬우 라고 합니다. 그리고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보호복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주전공은 화학공학 부전공은 예술이론을 공부하였습니다. 다소 상반된 주제이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있고 지속적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관심가져주시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5,135개
답변 평점
4.9
(753)
받은 응원박스
53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982개
친절한 답변
363
자세한 설명
222
명확한 답변
206
돋보이는 전문성
187
명확하지 않은 답변
2
설명이 부족함
2
최근 답변
우리나라에서 노벨과학상을 받을 가능성을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현재 한국에서 만들어지는 논문들읜 논문인용지수인 sci 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투자비 역시도 세계 상위권이지만 우리나라의 연구비 지원 경향이 단기적인 결과물에 집중되어 있기에 노벨상을 받기 위한 장기간의 연구개발과는 결이 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장기간 연구를 하기 위한 대학교에서도 아직 도제문화가 남아있기에 창의적인 연구보다는 돈이 되거나 기존연구와 유사한 연구를 하지 않으면 지원이 되지 않기도 합니다. 연구풍토를 쉽게 변화하는게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연구풍도 때문에 오히려 단기간에 기술을 개발하고 세계 혁신 기술을 만들어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단지 노벨상을 위해 한국 전체의 연구풍토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현재 일본이 노벨상을 받았지만 반도체나 배터리의 세계 주도 국가 인가요? 세계최대 반도체나 배터리 제조기업을 가지고 있나요?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
11시간 전
0
0
요즘에는 기상청에서도 AI 등을 통해서 기상 예측을 하기도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사실 기상관측은 아시다시피 슈퍼컴퓨터에 의존하는 데이터 통계 방식이기에 이것은 과거의 인공지능과 같았으며 현재는 이러한 통계와 인공지능의 예측을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는 현재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지 않지만 딥웨더라는 이름으로 개발중이며 유럽과 일본의 경우는 인공지능을 활요하여 현재 예보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11시간 전
0
0
AI가 정말 많이 발전하는데 직업으로서 미술 관련된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전혀 아니라고 말해드리고 싶습니다.하지만 일러스트레이터와 디자이너 같은 상업 미술을 하시는 분이라면 인공지능으로 인해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게 될 것 입니다. 창작자로써의 미술가들은 인공지능은 창작의 도구일 뿐 그들의 자리를 절대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전을 해도 인간의 지시없이 새로운것을 만들어내지 않고 있으며 현재 인공지능만으로 만들어낸 작품에 대해 저작권을 인정해주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가가 어떤 창작품을 만들어내는지 궁금하시다면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전시중인 올해의 작가상 2025에서 언메이크랩이란 팀의 전시를 한번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미술
11시간 전
0
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랭킹
14위
학문 분야
이메일
kof1kyo@naver.com
연락처
01035858601
카카오톡
전화상담